트럼프, “김정은과 대화하겠다” 발언 왜?

트럼프, “김정은과 대화하겠다” 발언 왜?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6-05-18 14:48
업데이트 2016-05-18 14: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공화당의 사실상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가 집권하면 북한과 대화에 나설 수 있음을 밝히면서 대북 정책 변화를 시사한 것인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AFP 연합뉴스
 트럼프는 17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트럼프타워에 있는 자신의 집무실에서 로이터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나는 그(김정은)와 대화할 것이다. 나는 그와 대화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동시에 중국에 엄청난 압력을 가할 것이다. 우리가 경제적으로 중국에 엄청난 힘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며 ‘중국 지렛대론’을 거듭 주장했다. 트럼프가 그동안 ‘미치광이’라고 부르며 상대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해온 김 위원장과 대화 가능성을 거론한 것은 처음이다. 로이터는 “트럼프는 평양의 핵프로그램을 중단시키기 위해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 기꺼이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며 “그는 북한을 다룰 구체적 계획들을 밝히는 것은 거절했지만 김정은과의 만남은 고립된 나라(북한)에 대한 미국 정책의 중대한 변화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트럼프의 이날 발언을 둘러싸고 워싱턴 외교가는 해석이 분분하다. 구체적 내용이 없기 때문에 누구와도 대화할 수 있다는 원론적 발언이라는 평가부터 외교안보정책도 협상으로 풀겠다는 협상가적 면모를 과시한 것이라는 해석과 함께 버락 오바마 정부의 대북 정책을 바꿔야 한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시사한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트럼프는 지난달 27일 자신의 외교정책을 발표하면서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이 핵능력을 확장하고 도발을 증가시키는 것을 무기력하게 보고만 있다”며 오바마 정부의 대북 ‘전략적 인내’ 정책을 비판한 바 있다.

 트럼프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민주당의 사실상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측은 “가장 가까운 동맹국 지도자들은 모욕하고 김정은과는 대화하고 싶다는 것이냐”고 반문하며 트럼프의 외교정책이 “말도 안 된다”고 비난했다. 클린턴 선거 캠프의 제이크 설리번 외교정책자문은 이날 성명에서 “트럼프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나 북한 김정은과 같은 외국 ‘독재자들’에 기이하게 매료돼 있는 것 같다”고 비꼬았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