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통화 실질가치 韓 1%↓·中 3%↓…日은 9%↑

올들어 통화 실질가치 韓 1%↓·中 3%↓…日은 9%↑

입력 2016-05-23 08:25
업데이트 2016-05-23 08: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日 수출기업 이익 악화에 ‘고심’…美반대에도 엔저 유도할지 주목

국제결제은행 집계 62개국 통화 중 3분의 1 올들어 실질가치 절하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한국 원화의 실질가치는 1%, 중국 위안화는 3% 절하됐지만, 일본의 엔화가치는 9% 절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주말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이 국가별 경쟁적 통화 평가절하를 자제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가운데 주력 수출기업의 수익급감에 시달리고 있는 일본 당국의 속내는 복잡할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 한국의 실질실효환율지수는 108.81로 작년 말의 109.92에 비해 1% 하락했다.

실질실효환율지수가 하락하면 해당국 통화의 교역상대국 통화 대비 실질가치는 절하됐다는 의미다.

실질실효환율은 물가변동까지 반영된 교역상대국에 대한 각국 돈의 상대가치로 각국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이 어떤지 파악하는 지표다. 수출여건을 가늠하는 지표이기도 하다.

같은 기간에 원/달러 환율은 기말 환율 기준 달러당 1,173원(작년말)에서 1,139원(올해 4월말)으로 2.99% 하락했다. 환율이 하락하면 통화가치는 상승한다.

달러 대비 원화가치는 3% 상승했지만, 원화의 실질가치는 1% 하락한 셈이다.

BIS가 실질실효환율지수를 집계하는 전 세계 61개 주요국가 중 이 기간 실질 통화가치가 절하된 국가는 전체의 3분의 1 가량인 21개국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 중국의 실질실효환율지수는 126.14로 작년 말의 130.11에 비해 3.1% 하락한 반면, 일본의 실질실효환율지수는 작년 말 71.56에서 지난달 말 77.78로 8.7% 상승했다.

이 기간 달러화 대비 중국 위안화 환율은 기말 환율 기준 6.494위안에서 6.459위안으로 0.54% 하락했고, 달러화 대비 일본 엔화환율은 기말 환율 기준 120.42엔에서 108.40엔으로 11% 폭락했다.

원화와 마찬가지로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는 0.54% 상승했지만, 실질가치는 3% 하락한 셈이다. 엔화는 실질가치 상승폭보다 달러 대비 상승폭이 컸다.

한국, 중국, 일본 외에 지난달 미국 재무부가 ‘주요 교역 대상국의 환율정책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환율관찰대상 5개국 명단에 포함한 독일의 실질실효환율 지수는 같은 기간 93.99에서 94.58로 0.6% 상승했고, 대만은 100.87에서 99.91로 1% 떨어졌다.

미국 재무부는 당시 보고서에서 한국과 중국, 대만 등에 노골적인 통화절상 요구를 하면서 미국 무역촉진진흥법(BHC수정안)에 따라 무역상대국의 환율조작 여부를 판별할 때 해당국 통화가치의 상승을 막기 위해 외환시장에서 일방향의 반복적인 개입을 했는지를 기준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작년 하반기부터 지난 3월까지 선물환과 스와프시장을 포함한 한국의 매도 개입액을 260억달러(약 30조원)으로 추산했다. 이처럼 달러를 내다 파는 매도 개입으로 원화가치 하락을 막은 점이 지난 수년간 원화 절상을 막기 위해 해온 비대칭적 개입과는 대조적이었다고 재무부는 강조했다.

작년 하반기 이후 대대적인 매도 개입이 없었다면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도 있었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한국의 작년 전체 개입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0.2%만큼인 27억5천만 달러(약 3조1천억원)를 순매수한 것으로 추산됐다.

중국은 위안화 가치 하락 방어를 위해 작년 전체로는 GDP의 3.9%(약 4천283억 달러)에 해당하는 순매도 개입을 했고, 작년 8월부터 지난 3월까지는 4천800억 달러를 내다 판 것으로 재무부는 집계했다.

이같이 한국과 중국이 외환시장에 대대적인 개입을 한 것과 다르게 일본은 2011년 이후 외환시장 개입을 하지 않았다고 미 재무부는 평가했다.

일본은 그러나 올들어 엔화 가치가 급격히 상승하자 “외환시장에서 과도한 변동과 무질서한 움직임은 경제와 금융의 안정에 대해 악영향을 준다”면서 주요국을 상대로 시장개입의 당위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해왔지만, 미국의 강한 반대에 부딪히면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미국, 일본 등 주요 7개국(G7)은 20∼21일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통화 절하 경쟁을 자제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지만, 외환시장 안정을 강조하며 시장 개입 카드를 접지 않고 있는 일본과 이를 경계하는 미국 사이의 입장 차이는 좁혀지지 않았다.

지난달 14∼15일 워싱턴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때도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환율 움직임이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거나 투기적 움직임이 관찰될 경우 필요한 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했지만, 제이컵 루 미 재무장관은 “엔화 고공행진에도 외환시장은 질서 있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일본의 개입론에 반대했다.

지난 19일에는 왈리 아데예모 미 백악관 국제경제담당 국가안전보장 부보좌관이 언론 인터뷰에서 일본의 외환시장 개입은 세계 경제 성장을 부양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재차 쐐기를 박았다.

하지만, 최근의 엔화 강세에 세계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인 일본 도요타자동차는 내년 3월 끝나는 회계연도에 순이익이 35% 줄어 5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고, 사카키바라 사다유키 게이단렌(經團連·일본경제단체연합회) 회장은 일본 정부에 “엔화에 브레이크를 걸라”고 촉구하면서 참의원 선거를 앞둔 일본 당국으로서는 엔화 절하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엔고 흐름이 지속한다면 엔저 유도를 위한 일본의 외환시장 개입이 재개될 가능성도 있으며, 우회적으로 엔저를 유도하고자 통화정책 카드를 꺼내들 수 있는 상황이다. 일본은행은 시장 예상과 달리 지난달 28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아무런 추가조치를 내놓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회의에선 돈 풀기를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