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푸틴 ‘反트럼프 연대’ 맺는다

시진핑·푸틴 ‘反트럼프 연대’ 맺는다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8-06-07 23:52
업데이트 2018-06-08 02: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푸틴 SCO 정상회의 참석 위해 방중

중·러 회담서 美 정책 등 논의할 듯
지난해만 다섯 차례 정상회담을 열며 시진핑(習近平·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남다른 ‘브로맨스’를 과시한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이 8~10일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국빈 방문한다. 지난 3월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네 번째 임기를 시작한 푸틴 대통령의 첫 해외 방문이다.

칭다오에서 열리는 이번 18차 SCO는 2001년 중국과 러시아 등이 설립한 지역 안보 모임으로, 지난해 인도 가입으로 회원국이 8개 국가로 늘었다.

이번 중국·러시아 정상회담의 주제는 ‘반트럼프 연대’가 될 것이란 게 중국 언론의 전망이다. 리싱(李星) 베이징 사범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7일 관영 글로벌타임스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에 맞서는 SCO의 세계적 가치가 날로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적대적이고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탓에 중국과 러시아 정상은 지역 안보를 위해 자연스럽게 관계를 강화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운동에 러시아가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한 조사와 중·미 무역전쟁, 남중국해를 둘러싼 지정학적 문제, 북·미 정상회담으로 야기된 중·미의 껄끄러운 관계 등 어느 때보다 서로 긴밀한 협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시 주석은 2012년 취임 이후 모스크바를 가장 많이 방문했으며 그동안 이뤄진 중국·러시아 정상회담 횟수는 모두 25차례나 된다.

푸틴 대통령은 방중을 앞두고 중국 중앙(CC)TV와 가진 인터뷰에서 “2013년 발리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과 소시지를 잘라 보드카와 함께 먹고 마시며 나의 61번째 생일을 축하했다”면서 “우리는 부친들의 세계 2차 대전 경험을 이야기했는데 어떤 정상과도 시 주석처럼 신뢰 관계를 형성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러시아의 최대 무역 상대국으로 지난해 상호 무역 규모는 전년보다 31.5% 증가한 870억 달러(약 93조원)에 달했다. 중국 지도부 내 2인자인 왕치산(王岐山) 국가부주석도 외교 정책 사령탑으로 나선 후 첫 해외 출장지가 지난달 다녀온 러시아였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8-06-08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