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지카 바이러스 위험성 평가…“올림픽 연기 여부 검토해달라”

WHO, 지카 바이러스 위험성 평가…“올림픽 연기 여부 검토해달라”

이슬기 기자
입력 2016-06-04 17:10
업데이트 2016-06-04 17: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카 바이러스가 모체의 태반을 넘어 태아에 감염될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사진에서 붉은 색은 태반을 이루는 세포에 지카 바이러스가 침입한 모습이고, 푸른 색은 태반 세포의 핵을 나타낸다. 사진=연합뉴스
지카 바이러스가 모체의 태반을 넘어 태아에 감염될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사진에서 붉은 색은 태반을 이루는 세포에 지카 바이러스가 침입한 모습이고, 푸른 색은 태반 세포의 핵을 나타낸다. 사진=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가 오는 8월 열릴 예정인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지카 바이러스가 미칠 위험성을 평가한다.

4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마거릿 챈 WHO 사무총장은 진 섀힌 미국 상원의원에게 보낸 서한에서 “WHO는 선수와 관람객 50만여명이 참석할 리우 올림픽에 지카 바이러스가 미칠 위험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과학자를 브라질에 파견했다”고 전했다.

챈 사무총장은 “국제사회 우려를 고려해 지카 바이러스 긴급 위원회에 리우 올림픽을 예정대로 개최하는 것의 위험성을 조사하도록 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긴급 위원회 전문가들은 이달 중 회의를 열어 지카 바이러스가 올림픽에 미칠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지난달 섀힌 의원은 챈 사무총장에게 “리우 올림픽을 예정대로 개최하면 소두증 신생아가 급증할 수 있다”며 올림픽 연기 여부를 검토해달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세계 보건 전문가 200여명도 지난달 27일 WHO에 공개서한을 보내 “공중 보건을 위해 8월 개최 예정인 리우 올림픽을 미루거나 개최지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시 WHO는 응답 성명에서 “올림픽의 연기 또는 장소 변경과 지카 바이러스 확산과는 큰 관계가 없다”며 전문가 요청을 거부했다.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대부분 발열, 발진, 관절 통증 등을 가볍게 앓고 넘어간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는 비정상적으로 작은 머리를 지닌 소두증 신생아 출생 등 심각한 출생 결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WHO는 임산부에게 리우 올림픽에 가지 않도록 권고하고, 다른 일반 여행객도 도시에서 붐비는 곳 등 취약한 지역을 피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WHO는 전문가 회의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아내가 임신 중인 미국 사이클선수 티제이 반 가데렌(27)은 지카 바이러스 감염을 우려해 리우 올림픽에 불참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