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조각 사실상 완료…백인·군인·억만장자가 득세

트럼프 조각 사실상 완료…백인·군인·억만장자가 득세

입력 2016-12-14 02:05
업데이트 2016-12-14 0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무장관에 석유재벌 틸러슨 지명해 15명 중 12명 낙점…3곳도 금명 발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3일(현지시간) 친(親)러시아 성향의 석유 거물인 렉스 틸러슨 엑손모빌 최고경영자(CEO)를 초대 국무장관에 지명함으로써 조각 작업을 사실상 완료했다.

15개 부처장관 가운데 국무·국방·재무장관 등 12개 부처장관 지명자의 인선을 마무리했으며 금명간 에너지·농무·보훈장관 등 3곳도 마저 채워 내각 구성을 끝낼 것으로 알려졌다.

비서실장과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과 수석전략가, 국가경제위원장 등 백악관 핵심 요직의 인선도 종료됐다.

지난달 8일 미국 제45대 대통령에 당선된 이래 한 달여만이다.

트럼프 당선인의 초대 내각과 백악관 인선의 특징은 ‘워싱턴 아웃사이더’와 군인·억만장자의 득세로 요약된다.

‘아웃사이더’ 돌풍을 일으켜 백악관에 입성한 트럼프 당선인은 정권을 이끌 핵심 인물들을 워싱턴 정가와 동떨어진 인물 위주로 발탁했다.

특히 국정의 두 축인 안보 및 경제라인에 군인과 월스트리트 출신 등 공직 경험이 없는 현장 전문가가 전진 배치됐다.

안보 총사령탑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롯 국방장관, 국토안보장관 등 국내외 안보라인을 강경 퇴역 장성들이 사실상 장악했으며,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과 재무·상무장과 경제라인도 공직경험이 없는 월스트리트 인사들로 채워졌다.

‘반(反) 오바마’ 인사들의 약진이 눈에 띄었으며 3명의 여성이 조각 명단에 포함됐다.

트럼프 당선인이 ‘보통 미국인’의 대변자를 자처했지만 총 재산규모가 14조원이 넘는 ‘가질리어네어(gazillionaire·초갑부) 내각’이 꾸려진 점도 두드러진 특징이다.

장관 지명자 12명 가운데 10명이 백인이며 1명은 흑인, 1명은 대만계다.

트럼프 당선인의 이번 조각 인선을 놓고 “기성 정치권의 오물을 빼기는커녕 자신의 시궁창을 만들고 있다”는 안보전문가의 지적이 제기되는 등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기류에 따라 틸러슨 국무장관 지명자 등 공화당 내부에서도 자격 논란이 이는 이들이 상원 인준청문회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확정된 각료 지명자 명단을 보면 ▲국무장관 렉스 틸러슨 엑손모빌 최고경영자(CEO) ▲법무장관 제프 세션스(앨라배마) 상원의원 ▲국방장관 제임스 매티스 전 중부사령관▲주택도시개발장관 벤 카슨 신경외과의사 ▲보건복지장관 톰 프라이스(조지아) 하원의원 ▲국토안보장관 존 켈리 전 남부사령관 ▲재무장관 스티븐 므누신 ‘듄 캐피널 매니지먼트’ 전 대표 ▲상무장관 윌버 로스 전 투자은행 로스차일드 대표 ▲노동장관 앤드루 퍼즈더 ‘CKE 레스토랑’의 최고경영자 CEO▲내무장관 케이시 맥모리스 하원의원 ▲교육장관 벳시 디보스 교육활동가 ▲교통장관 일레인 차오 전 노동장관 등이다.

에너지 장관은 릭 페리 전 텍사스 주지사가 사실상 내정됐다.

백악관 비서실장은 라인스 프리버스 전 공화당 전국위원회 위원장, 국가안보보좌관은 마이클 플린 전 국방정보국(DIA) 국장, 수석전략가 겸 수석고문은 스티브 배넌 전 브레이트바트 대표,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사장 겸 최고운영자(COO)인 게리 콘 등이 각각 낙점됐다.

또 중앙정보국(CIA) 국장에 마이크 폼페오 하원의원, 환경보호청(EPA) 청장에 스콧 프루이트 오클라호마 주 법무장관, 중국 주재 미국대사에 테리 브랜스테드 아이오와 주지사, 유엔 주재 미국대사에 니키 헤일리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상무부 부장관에 토드 리케츠 프로야구 시카고컵스 소유자, 국가안보실 부보좌관에 캐슬린 T.맥파런드 안보관련 애널리스트, 복지부 산하 공보험관리기구인 의료서비스센터(CMS) 센터장에 시마 베르마 인디애나 주 보건정책 고문 등이 각각 중용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