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1년 만에 0.25%p↑0.50%∼0.75%…한은은 금리동결?

[미국 금리인상] 1년 만에 0.25%p↑0.50%∼0.75%…한은은 금리동결?

이슬기 기자
입력 2016-12-15 08:21
업데이트 2016-12-15 15: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재닛 옐런 연준 의장
재닛 옐런 연준 의장 사진=AP 연합뉴스
미국 연방 기준금리가 1년 만에 0.25%p 인상돼 0.50%∼0.75%로 올랐다.

이는 지난 10년간 불과 2번째로 단행된 금리 인상 조치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14일(현지시간) 전날부터 이틀간 진행한 올해 8번째이자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0%∼0.75%로 올리는 금리 인상 조치를 위원 10명의 만장일치로 단행했다.

최근 고용시장 개선과 물가상승 전망, 소비심리 개선, 기업인 출신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경제성장의 기대감 등이 두루 반영된 예고된 결과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제로금리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12월 0.25%의 금리 인상을 단행한 이래 1년 만의 인상 조치이다.

연준 위원들은 앞으로 금리가 얼마나 오르고 내릴 것인지 개인적인 생각을 담은 표인 ‘점도표’를 통해 내년 1년간 3차례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을 시사한 바 있다.

연준은 회의 후 성명에서 “현실화하고 예상된 노동시장 조건과 물가상승을 고려해 위원회는 목표금리를 올리기로 했다”며 “일자리 증가가 최근 몇 달간 견고했으며 실업률은 낮아졌다”며 배경을 밝혔다.

옐런 의장도 기자회견에서 “나와 위원들은 고용 극대화와 물가안정이라는 연준의 양대 목표를 향해 미국의 경제가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금리 인상의 이유를 설명했다.

또 “금리 인상은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의 표시”라고 덧붙였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의 경제정책을 겨냥해 “미국 경제는 경기부양책이 필요없다”며 감세와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를 골자로 한 ‘트럼프노믹스’의 경제성장정책에 부정적 입장을 드러냈다.

또 금리 인상 속도에 대해 “2017년 금리 인상 움직임은 매우 완만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연준은 지난 9월에는 내년 2차례 금리 인상을 전망한 바 있다.

이번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선진국 돈줄죄기가 본격화할지 주목된다. 우리나라가 받는 금리 인상의 압박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내년 3차례 금리 인상을 시사한 데 이어 유럽중앙은행(ECB)도 내년 4월부터 자산매입 규모를 기존 800억 유로에서 600억 유로로 축소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다만 한국은행은 15일 일단 현 수준인 연 1.25%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