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도 애플도 인도만 가면 고배

구글도 애플도 인도만 가면 고배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6-06-13 01:42
업데이트 2016-06-13 0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보·환경 내세운 규제에 막혀 스트리트뷰·중고 아이폰 등 난항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 세계적인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인도에서 잇따라 고배를 마시고 있다. 12억 5000만명의 인구와 연 7%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갖춘 인도를 차세대 주요 시장으로 보고 앞다퉈 신규 사업 진출을 모색했으나, 안보·환경·자국산업 보호 등을 내세운 인도 정부의 규제를 넘지 못하고 있다.

12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최근 구글은 거리 모습을 3차원 사진으로 제공하는 스트리트뷰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인도 정부에 신청했으나 “3차원 사진이 테러에 사용될 수 있다”며 거부당했다.2008년 뭄바이 시내 기차역과 타지마할 호텔, 지하철역사 등에서 테러가 발생해 166명이 사망한 기억이 남아 있고 파키스탄 국경 지역 등에서 분리주의 무장 반군의 공격이 벌어지는 인도에서 안보 위협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애플은 팀 쿡 최고경영자(CEO)가 취임 5년 만에 처음으로 지난달 17일 인도를 방문해 인도 내 리퍼비시(중고 제품을 수리한 것) 아이폰 판매와 직영판매점 설치 등 사업 확대를 모색했다. 하지만 인도 정부는 “중고 아이폰 판매로 ‘전자 쓰레기’가 늘어 환경문제가 우려된다”며 거절했다. 애플이 자국을 단순 판매 시장으로 삼기보다 제조공장을 설립해 생산기지로 삼을 것을 바라는 인도 정부의 속내가 담겨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앞서 페이스북은 인도에서 ‘프리베이식’이라는 이름으로 무료 인터넷 서비스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하지만 얼마 전 인도통신규제국(TRAI)은 이 서비스를 금지했다. “페이스북에 의해 걸러진 정보만으로 사용자의 지식과 관점이 형성되는 것은 위험하다”는 이유를 댔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인도 정부가 앞뒤 가릴 것 없이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를 위해 앞장섰던 것과 정반대 상황이다. “인도의 최고 수출품은 글로벌 IT기업 CEO”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인도의 IT 경쟁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자국 IT 경쟁력을 활용해 세계적 기업을 만들어 내고 싶은 인도 정부로서는 자국 기업들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을 때까지 시간을 벌겠다는 생각이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6-06-13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