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GDP 성장 연속 하락…경착륙 우려 커지나

중국 GDP 성장 연속 하락…경착륙 우려 커지나

입력 2013-07-15 00:00
업데이트 2013-07-15 14: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역·공업 경기 부진에 ‘리코노믹스’ 향배 주목중국 정부, 경착륙 일축…”하반기 반등” 전망도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연속 하락하면서 중국 경제의 경착륙 우려가 다시 불거지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5일 올해 2분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7.5%로 1분기의 7.7%에 비해 0.2% 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분기별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이후 올해 들어 1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으로 떨어졌다.

지난해에는 1분기 8.1%, 2분기 7.6%, 3분기 7.4%, 4분기 7.9%를 기록했다.

국내외 수요 감소로 지난해 연간 성장률이 7.8%로 1999년(7.6%) 이후 처음으로 8% 밑으로 떨어졌으나 저점을 찍고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가 일었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 반짝 상승 이후 내리막을 달리면서 반등 기미를 보이지 않자 중국 경제가 경착륙할 수 있다는 우려가 다시 나오고 있다.

올해 2분기 GDP 성장률 부진은 수출과 제조업 경기가 심상치 않음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과 유럽연합(EU)에 대한 무역량이 큰 폭으로 감소한 가운데 지난 6월 수출이 17개월 만에 처음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3.1%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50.1로 전월의 50.8에 비해 0.7 포인트 낮아져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국 선인완궈(申銀萬國)증권의 리후이용(李慧勇)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공업부문과 대외무역의 부진으로 2분기 경제 성장률이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경기 부양을 하지 않고 경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개혁을 추진하겠다는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의 정책 기조를 말하는 ‘리코노믹스(Likonomics)’의 향배도 변수로 남아있다.

리코노믹스는 지방정부 부채나 ‘그림자 금융’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구조조정을 통해 중장기적 안정 성장을 위한 것이지만 당장은 성장 둔화를 감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는 통화 증가율이나 재정지출 등에서 정부의 긴축의지로 이어지면서 경제 성장률 둔화에 대한 우려를 더욱 키우고 있는 양상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경제 발전 방식 전환과 구조조정을 위해 거쳐야할 과정일 뿐이라며 경착륙 가능성을 일축하고 있다.

최근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경제 성장률의 하한선을 지켜 지나친 하락을 막겠다고 밝힌데 이어 지난주 광시(廣西)자치구를 순시하는 자리에서도 안정성장과 구조 조정, 개혁 추진 등을 거듭 강조했다.

러우지웨이(樓繼偉) 재정부장도 이달 미국에서 열린 미중 전략경제대화에 참석, 언론과 만난 자리에서 “중국 경제 성장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구조개선 작업은 성과를 내고 있다”며 “중국 경제가 경착륙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정부의 제한적인 부양조치가 이뤄지면 하반기에 경기가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 국제경제교류센터의 장용쥔(張永軍) 경제연구부 부부장은 중국 언론에 “정부가 성장률 하한선을 지키기 위해서는 경기가 계속 하락할 경우 상응하는 조치를 내놓을 수 있다”며 경기 부양에 대한 기대감을 표했다.

칭화(淸華)대 중국과세계경제연구센터의 리다오쿠이(李稻葵) 주임도 “하반기에는 정부의 정책 조정과 개혁 조치가 나오면서 경제가 반등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