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권 경쟁…격랑의 동북아] 中 ‘감투원화’로 美 전방위 봉쇄 돌파

[패권 경쟁…격랑의 동북아] 中 ‘감투원화’로 美 전방위 봉쇄 돌파

입력 2013-12-02 00:00
업데이트 2013-12-02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와 맞서는 中 힘의 외교

‘감투원화’(敢鬪願和·감히 싸우겠다는 자세로 평화를 도모하자).

평화를 추구하겠지만 팽창한 경제 실력과 군사력을 바탕으로 핵심이익을 위해서는 감히 싸우겠다는 강경한 자세가 시진핑(習近平) 시대의 외교·안보 노선으로 자리잡고 있다.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설치도 이 같은 기조 아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로 분쟁 중인 일본의 도전을 제압하고 ‘아시아 중시’ 전략을 펴는 미국의 봉쇄를 돌파하겠다는 전략이 구체화된 것이다.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설치 결정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직접 내린 것으로 전해진다. 권력 승계가 이뤄지던 지난해 11월 공산당 18기 전국대표대회(전대) 당시 군부는 방공식별구역 설치안을 제출했다. 이에 시 주석은 지난 7월 이를 확정해 최근 선포한 것이라고 1일 뉴스 포털 왕이(網易) 등 중국 언론들이 홍콩 아주주간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과 주변 국가들의 거센 반발을 예상하고도 이 같은 조치를 감행한 것은 저자세 외교 기조인 ‘도광양회’(韜光養晦·빛을 감추고 어둠 속에서 조용히 힘을 키우다) 정책이 시진핑 시대를 맞아 공식 폐기됐음을 선포한 셈이다.

중국의 강한 외교는 미국의 전방위적 중국 봉쇄 전략에 밀릴 수 없다는 절박감뿐만 아니라 시 주석의 권력 기반 강화 움직임과도 연계돼 있다. 마오쩌둥(毛澤東)이 국내 갈등을 해결하고 군권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전쟁 참전을 결정했듯, 시 주석의 강한 외교는 민족주의적 감정을 고취시켜 내부 현안으로 쏠리는 국민의 불만을 외부로 돌리고 응집력을 구축해 권력을 집중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앞으로도 ‘돌돌핍인’(咄咄逼人·거침없이 상대를 압박하다)식 강경 기조는 이어질 전망이다. 중국 전문가들은 미국의 요구대로 중국이 방공식별구역 설치를 철회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난달 29일 자국 방공식별구역으로 진입한 미국 군용기 등을 겨냥해 전투기를 급발진시키며 강경 대응한 것도 이 같은 의지를 대변한다.

다만 방공식별구역 내 강경 대처로 미국에 압박을 가하면서도 오는 4일 조지 바이든 미 부통령의 방중을 계기로 타협안도 모색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중국이 말하는 신형 대국관계의 핵심이 경쟁과 협력이듯, 아직 미국과 전면전을 벌이기엔 힘이 달리고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미국의 투자가 필요하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3-12-02 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