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매체 “평양은 평온”…장성택 실각설에 ‘신중’

中 매체 “평양은 평온”…장성택 실각설에 ‘신중’

입력 2013-12-04 00:00
업데이트 2013-12-04 1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구시보 “아직 진위 확인되지 않은 내용”

중국 매체들은 북한의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실각설과 관련해 “평양시내 분위기는 평소와 같다. 모든 것이 정상적이며 평온하다”며 관련 보도에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는 4일 한국언론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장 부위원장 실각설을 주요 소식으로 보도했다.

환구시보는 이 보도에서 “국가정보원이 전날 국회 정보위원회에 ‘11월 하순 북한이 당 행정부 내 장성택의 핵심 측근인 리룡하 제1부부장과 장수길 부부장을 공개처형한 이후 장성택 소관 조직과 연계 인물들에 대해서도 후속조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고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고모인 김경희 노동당 비서의 위독설 보도 등에서 보듯 한국언론의 북한 고위층 관련 소식은 얼마 지나지 않아 사실무근으로 밝혀진 경우가 적지 않았다며 ‘장성택 실각설’ 역시 아직은 진위가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라고 강조했다.

환구시보는 “이번 소식 역시 여러 단계를 걸친 것이어서 진위를 단정하기 어렵다”며 국정원 측이 외신 등에 사실 확인을 해주지 않고 있다는 내용도 덧붙였다.

또 한국 언론 매체들이 ‘장성택 실각’의 배경으로 각종 경제개혁조치를 거론하고 있지만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박봉주 총리의 현지시찰 보도 등이 계속 나오고 있듯 “북한의 대외경제 중시(정책)는 변화가 없다”고 주장했다.

북한 경제개혁을 진두지휘하는 박 총리는 ‘장성택 라인’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환구시보는 끝으로 평양주재 기자를 인용, “(장성택 실각 소식이 나온) 3일 평양에서 관련 소식이나 전언은 일절 들을 수 없었다. 북한은 현재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2주기 준비에 돌입했다”고 전했다.

중국 유력지로 꼽히는 경화시보(京華時報) 역시 이날 한국언론 보도를 인용해 장성택 실각설을 주요소식으로 보도했지만 “현재로서는 (사실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전했다.

홍콩의 친중(親中) 성향 언론 매체들도 환구시보와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대표적인 친중 신문인 대공보(大公報)는 실제 이번 일의 자초지종이 확실치 않다면서 중립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신문은 한국의 대북 정보 수집과 판단에는 실수와 오판이 많다면서 장성택의 실종이나 숙청 등의 소식에 대해 전문적이고 중립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관찰과 분석을 계속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공보는 그러나 장성택의 생사는 북한의 내부 문제인 만큼 북중 관계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며 중국은 북한과 우호 관계 발전에서 확고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홍콩 신문 대부분은 연합뉴스 보도 등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이번 소식을 알렸다.

한편, 중국 당국은 관련 보도에 대해 아직 어떤 반응도 내놓지 않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