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국제통화’ 굳히기?

위안화 ‘국제통화’ 굳히기?

김규환 기자
입력 2016-02-11 22:46
업데이트 2016-02-12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막대한 금 수입 정체 뭘까

“그 많은 금이 다 어디로 갔지?”

중국의 금 수입은 2010년 이후 700% 이상 폭증했지만 금 보유 규모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아 ‘미스터리한 상황’이라고 CNN머니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수입된 금의 상당량이 인민은행에 외환보유고 형태로 쌓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막대한 규모로 금을 쌓아 두는 것은 위안화를 국제통화로 자리잡게 하는 한편 가치 하락을 막는 데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5년 새 7배↑… “인민은행 외환보유고 형태로 축적”

중국인들은 금을 선호하지만 2004년까지 민간의 금 보유가 금지됐다. 2005년 규제가 풀려 금 수입이 크게 늘었다. 미 투자은행 웰스파고는 중국의 금 소비는 세계 생산량의 40%를 차지하고 있다고 추산했다. 홍콩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연간 금 수입량은 2010년 119t에 불과했으나 2011년 428t, 2012년 832t, 2013년 1495t 등 꾸준히 늘었다. 지난해도 992t에 이른다. 여기에는 세계 최대를 자랑하는 중국 내 금 채굴량은 포함되지 않았다. 세계 최대 생산량에 최대 수입국이라는 것은 곧 엄청난 규모의 금을 축적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런데 중국은 금 보유량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는다. 2009년 3월까지 1929만 온스(546.86t)이라고 공개한 인민은행은 그해 4월 3389만 온스로 밝힌 이후 6년 2개월간 금 보유량을 바꾸지 않았다. 지난해 6월에야 5332만 온스라고 공개한 뒤 매달 50~60t이 늘어 지난해 말 5666만 온스(약 1606.28t)에 달한다고 밝혔다. 최근 몇 달간 금 보유량을 공개한 것은 지난해 특별인출권(SDR) 편입과 관련해 국제통화기금(IMF)이 중국에 월간 금 보유량을 공개하라고 요구했기 때문이다.

●금 보유량 제대로 공개 안 해 전략적 활용 관측

이런 만큼 중국의 금 보유 규모는 시장 전망과 크게 다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현재 3500t으로 추산한 반면 중국은 1606t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금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통계를 조작하는 것으로 보는 이유다. 세계 1위인 미국의 금 보유량은 8000t에 이른다. 존 라포지 웰스파고 상품담당 책임자는 “중국 당국이 밝힌 것보다 실제 보유한 금은 훨씬 더 많을 것”이라며 “원유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상품이 금인 까닭에 중국이 금 자료의 공개를 꺼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6-02-12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