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거센 후폭풍] 브렉시트가 중국에 미칠 영향

[브렉시트 거센 후폭풍] 브렉시트가 중국에 미칠 영향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6-26 22:36
업데이트 2016-06-27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惡…‘경제 밀월’ 英 휘청에 위안화도 ‘타격’
樂…美 대서양 동맹 약화 “中, 운신폭 확대”

중국도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가 자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 언론과 전문가들의 반응을 종합해 보면 경제적으로는 유럽 시장 진출의 교두보였던 영국이 휘청거리면서 타격을 입겠지만, 국제 정치·외교적 측면에선 오히려 호재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많다. 단기적으로는 금융시장에 혼란이 일겠지만, 중·장기 세계 전략에서 보면 오히려 잘됐다는 것이다.

이 같은 전망은 영국의 국민투표 결과가 나온 지난 24일 시장에서 그대로 드러났다. 이날 위안화는 역외 시장에서 5년 만에 가장 큰 폭인 0.5%나 폭락했다. 달러·엔화 강세에 따른 위안화 약세가 당장 현실화한 것이다. 그러나 주식시장은 1.3% 하락하는 데 그쳐 전 세계 주식시장에서 가장 안정적인 면모를 보였다. 단기 금융시장 지표인 환율은 출렁거렸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실물 경제에 미칠 충격을 나타내는 주식시장은 무덤덤했다.

브렉시트가 경제 측면에서 중국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은 영국이 EU 내부에서 중국의 ‘대변자’였기 때문이다. 영국은 EU 국가 중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가입에 가장 먼저 손을 든 나라이자 중국에 대한 세계무역기구(WTO) ‘시장경제지위’ 부여와 EU와 중국의 양자투자협정(BIT) 체결을 지지해온 국가이다. 브렉시트 이후 유럽 내부의 혼란으로 중국과 EU 간에 진행해온 각종 경제 협상이 뒷전으로 밀려날 수 있다.

특히 홍콩에 이어 세계 두 번째 위안화 역외결제센터로 자리 매김한 금융도시 런던의 추락은 위안화 국제화 전략에 차질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런던에서는 위안화로 표시된 중국 정부의 국채가 역외에서 처음으로 발행됐다. 양국 중앙은행은 통화 스와프 협정을 체결하기도 했다.

장밍(張明) 중국사회과학원 세계경제정치연구소 주임은 “중국의 영국투자는 브렉시트가 비즈니스에 비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나면 냉각기를 겪을 수밖에 없다”면서 “중국은 일부 사업지를 룩셈부르크나 프랑크푸르트로 이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제정치 역학 관계로 눈을 돌리면 브렉시트는 중국의 위상을 강화할 기회일 수도 있다. EU 내 군사 강국인 영국이 EU와 결별하면 미국과 EU의 ‘대서양 동맹’이 약해지고, 미국의 약화는 중국에 운신의 폭을 넓혀 준다. 당장 미국이 쪼개진 EU·영국과의 관계를 추스르느라 남중국해 분쟁 등 중국과의 대결에 진력할 수 없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더욱이 중국은 러시아와의 관계를 혈맹 수준으로 끌어올리며 미국에 맞서고 있다.

인민일보는 26일 “위안화 약세에 따른 자본 이탈을 당장 걱정해야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중국에 유리한 점이 많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특히 “영국은 EU 각국의 높은 장벽에 직면해 새로운 파트너를 찾을 수밖에 없을 것이며, 이때 중국은 영국의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환구시보도 사설을 통해 “‘대영제국’은 300년 만에 국제 문제에 눈감고 오직 자신의 문제만 쳐다보는 ‘소국’의 길을 택했다”면서 “중국은 브렉시트가 몰고 올 분절화된 다극체제를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6-27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