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름 모를 食口에게… 매일 밥상 차려주는 시인

이름 모를 食口에게… 매일 밥상 차려주는 시인

입력 2013-05-01 00:00
업데이트 2013-05-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직접 차린 저녁상으로 ‘밥상 인문학’ 전파하는 오인태 시인

이미지 확대
문어호박수제비에 찐채소말이밥과 약간의 찬.
문어호박수제비에 찐채소말이밥과 약간의 찬.
둥글넓적한 소반에 문어를 넣고 반달로 썬 애호박이 수제비와 어우러져 한 그릇, 뒤에 찐 채소에 싼 주먹밥과 쌈장, 갓김치 한 보시기가 놓여 있다. 찐 채소로 싼 주먹밥의 형태와 놓여 있는 모양새가 정갈하고 여간 정성이 깃들어 있는 것이 아니다. 밥상의 색깔은 하얗고 푸르고, 붉다. 어느 날은 조개 애호박국, 강낭콩밥에 구운 생선 두 마리, 갑오징어 숙회 그리고 진도홍주가 밥상에서 석류알처럼 붉게 빛난다. 먹음직스럽다. 그런데 수저는 한 벌, 다시 말해 독상을 받았다.

경상남도 남해 미조초등학교 교사로 일하는 시인 오인태(51)의 저녁 밥상이다. 사택에 혼자 사는 그는 자신을 위해 정성껏 상을 차린다. 그리고 지난해 말부터 자신이 직접 차린 정갈한 저녁 밥상을 거의 매일 페이스북에 올려 낯선 친구들과 그림 속의 밥을 함께 나누고 있다. 밭일에 바쁜 어머니가 얼른 솜씨를 부려 순식간에 차려낸 것 같은 소박한 이 밥상에 사람들은 ‘좋아요’를 800~1000개씩 눌러댄다. 함께 올리는 그의 시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미지 확대
오인태 시인
오인태 시인


“너에게는 참 할 말이 없다.// 위로 누나 넷으로 늦본 맏이 그늘에 묻혀/ 입는 것 하나 제대로 네 몫으로 산 것 없고/ 먹는 것 하나 따뜻하게 네 것으로/ 챙겨진 일 없던/ 아우야// 형이 네가 못 나온 고등학교를 나오고/ 값싼 교육대학이나마 졸업한 것은/ 누나들이 그랬던 것처럼/ 보리밥으로 덮은 형의 쌀밥 도시락과/ 쌀밥으로 덮은 네 보리밥 도시락의 차이를/ 묵묵히 눈물로 삼켰을 아픈 인내와/ 희생의 대가임을 이 형인들 모를까// 네가 책가방보다 또래들의/ 주먹다짐에나 어울리고/ 어렵게 입학한 공고를 몇 달 만에/ 네 말대로 때려치우고 나온 것도/ 아우야// 이 형은 네 속 깊은 마음을/ 두려움으로 간직하고 있다.”

밥상과 함께 소개한 오인태의 첫 시집 ‘그곳인들 바람불지 않겠나’(1992년)에 수록된 ‘아우에게’ 중의 일부로, 고단한 1960~70년대를 보낸 중년 아저씨 아줌마의 눈물을 찔끔거리게 했다.

오인태는 지난 29일 전화통화에서 “‘아우에게’는 우리집 가족사죠. 제게는 ‘고흐의 테오’ 같은 아우가 있습니다. 1980~90년대는 리얼리즘의 시대였고, 나의 가족사에 문학성을 덧입혀서 쓴 시들이 나왔던 것”이라고 했다. 그는 밥상에 대해서는 “혼자 있을 때, 혼자서 쓰는 물건, 결국은 자기 자신에 대해 소홀하기 십상인데 ‘내 스스로 존중하기 위해’ 격식 있는 밥상을 차리는 것이죠. 또 실제로 혼자 먹지만 친구들과 밥상을 나누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정치적인 담론 생산에 열을 올렸던 시인 오인태가 ‘밥상의 인문학’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시점은 지난해 말 대통령 선거가 끝난 뒤였다. 정치이야기에 관심이 떨어졌다. 두 번째 시집이 ‘혼자 먹는 밥’(1998년)이고, 블로그 이름도 ‘시야, 밥먹고 놀자’로 지었던 그는 이제 사람들에게 밥을 챙겨 주고 싶었단다. 그는 1년에 봄·가을로 1박2일 동안 사람들을 불러모아 밥을 지어주고, 밥을 사주곤 하는 행사를 10년째 하고 있다.

“공동체의 가장 작은 단위 ‘식구’(食口)이다. 어떤 공동체에 자신이 성원임을 확인하는 것이 밥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밥 먹는 행위는 삶을 같이한다는 의미죠. 그런데 요즘은 다들 바빠서 식구들끼리도 같이 밥을 먹지 않잖아요. 공동체가 깨진 것이죠. 밥을 같이 안 먹고 뿔뿔이 흩어져 혼자 밥을 먹으니까, 젊은이들이 밥 먹는 행위를 ‘흡입한다’라고 하지 않겠어요. 자동차에 휘발유를 집어넣듯이 그저 밥을 에너지원으로만 생각하는 것이죠.”

그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상호부조’라고 했다. 댓글도 달고 ‘좋아요’를 누르면서 서로 소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림 속의 밥상’이지만 그가 차려내는 밥상은 몇 가지 원칙이 있다. 우리 땅에서 난 재료인지 원산지를 확인하고, 재래시장에서 장을 보고, 재료의 맛을 살리기 위해 양념을 많이 하지 않는 것이다. 다섯 번째 시집 ‘별을 의심하다’(2011년)을 내고 동시집 ‘돌멩이가 따뜻해졌다’(2012년)을 펴낸 오인태는 “올해 어린이 문학에 집중하고 싶고 동화도 쓰고 싶다”고 했다. 자신의 저녁 밥상을 ‘밥상의 인문학’ 수준으로 더 격상시키겠다니 기대가 크다.

문소영 기자 symun@seoul.co.kr

2013-05-01 2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