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남 “대작 아니라 관행” 주장에 미술계 논란

조영남 “대작 아니라 관행” 주장에 미술계 논란

입력 2016-05-17 11:42
업데이트 2016-05-17 1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중권 “일반화된 관행” VS 평론가 “공개 안 했으면 문제”

가수 겸 화가 조영남 씨가 대작 논란에 대해 “미술계의 관행”이라고 주장하고 나서 이를 놓고 미술계 내부에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조 씨는 17일 일부 언론에 보도된 인터뷰에서 국내외 작가들이 대부분 조수를 두고 작품활동을 하며 이는 미술계의 관행이라고 강변했다.

문화비평가인 진중권 동양대 교수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작가는 콘셉트만 제공하고 물리적 실행은 다른 이에게 맡기는 게 꽤 일반화된 관행”이라고 조 씨 측의 주장에 힘을 싣는 듯한 글을 올리면서 시비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진 씨는 자신의 트위터에 ‘핵심은 콘셉트이다. 작품의 콘셉트를 누가 제공했느냐다. 그것을 제공한 사람이 조영남이라면 별문제 없는 것이고 그 콘셉트마저 다른 이가 제공한 것이라면 대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해 미술계 의견은 엇갈리는 상황이다.

일부는 조 씨 측 주장처럼 문하생을 두고 작품에 도움을 받거나 협업 형태로 다른 작가와 함께 작품을 하는 사례가 있다는 측면에서 관행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놨다.

전시기획자인 양정무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는 “관행이라는 말이 틀린 얘기는 아니다. 심지어 이를 콘셉트로 삼는 작가도 있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세계적인 작가인 데미언 허스트는 모작을 사들여 그 위에 자신이 다시 사인을 해 팔기도 했다”면서 “다만 이런 행위를 어느 정도 오픈시켰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이어 “사람들이 조 씨의 그림을 구매한 것은 조 씨가 그렸기 때문이지 조 씨의 콘셉트를 산 것은 아니다”라며 “좀 더 사실 관계를 따져봐야 할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미술평론가 변종필 씨도 “대작한 작가와 사전에 합의가 있었고 이를 외부에도 공개했다면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충분히 문제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변 씨는 “예술작업은 아이디어만 갖고는 될 수 없다. 그것을 실현하는 예술적 기술이 필요하다. 만약에 자신이 그 기술이 없어 다른 사람의 힘을 빌렸다면 협업이라고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