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냐 관행이냐 ‘조영남 代作 스캔들’

사기냐 관행이냐 ‘조영남 代作 스캔들’

함혜리 기자
입력 2016-05-17 23:02
업데이트 2016-05-18 09: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檢 “직접 그린 것처럼 팔면 사기죄” 조씨 “바쁠 때만 조수 기용했을 뿐”

대중적 인기를 누리며 화가로도 활동해 온 가수 겸 방송인 조영남(71)씨의 대작(代作) 스캔들이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조씨는 화투장을 소재로 한 독특한 그림을 발표해 화가로 활동하면서 수차례 개인전도 열었다.

이미지 확대
조영남 연합뉴스
조영남
연합뉴스
●무명화가 “8년간 300점 그려줬다”

무명화가 A(61)씨가 폭로한 조씨의 대작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춘천지검 속초지청은 17일 “실제로 그림을 그린 작가에게 저작권이 있다고 본다면 조씨는 다른 사람이 그린 작품을 자신의 것처럼 판매한 것이기 때문에 사기죄 혐의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앞서 검찰은 속초에 거주하는 A씨가 1점당 10만원 안팎의 대가를 받고 그림을 그려 주면 조씨가 조금 손을 봐 서명을 한 뒤 수백~수천만원에 판매했다며 수사 의뢰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전날 조씨의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A씨는 2009년부터 8년간 조씨의 주문을 받아 300여점을 대신 그려줬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조씨는 “논란이 인 데 대해 도의적으로 책임을 느낀다”면서도 “8년간 300점을 그렸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수치”라고 말했다. 그는 “내가 비슷한 패턴의 작품을 여러 개 작업하는 경향이 있다. 주로 혼자 작업하는데 바쁠 때는 조수를 기용했고 함께 하는 사람이 3~4명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대작 사건에 휩싸인 가수 겸 방송인 조영남씨의 2005년 작품 ‘극동에서 온 꽃’. 리서울갤러리 제공
대작 사건에 휩싸인 가수 겸 방송인 조영남씨의 2005년 작품 ‘극동에서 온 꽃’.
리서울갤러리 제공
이미지 확대
‘극동에서 온 꽃’2012년 작품. 리서울갤러리 제공
‘극동에서 온 꽃’2012년 작품.
리서울갤러리 제공
●최근 일부 작가들 기획만 하기도

그는 조수가 대신 작업하는 것이 미술계의 관행이라고 주장했다. 조씨의 말이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니다. 유명 원로 화가들이나 몇몇 인기 작가들은 작업실에 여러 명의 조수를 두고 작품 제작에 도움을 받고 있다. 조각이나 대형 벽화 작업처럼 혼자 하기 힘든 작업을 할 때에 조수를 쓰는 것은 일반화돼 있다. 작품의 수요가 많은 대가들이나 극사실 작업을 하는 극소수의 화가들도 조수를 두고 작업한다.

최근에는 작가들이 기획자이자 디자이너, 프로듀서로 머물고 제작은 다른 참여자들이 하는 경우가 더 늘고 있다. 특히 현대미술에서 영상과 설치 등 장르융합적이고 개념적인 작품이 많아지면서 직접 작품을 제작하지 않는 작가들이 점점 늘고 있는 추세다. 이 경우 아이디어의 독창성은 아티스트에게 있다고 본다. 수십 년에 걸친 훈련과 작업의 결과로 구축한 예술세계를 인정하기 때문이다.

●미술계 “유명세 이용해 화단 농단”

하지만 조영남의 회화가 그런 수준인지에 대해서 미술계는 고개를 내젓는다. 한 중진 작가는 “아마추어 화가가 아무런 검증 과정도 거치지 않고 유명세를 이용해 슬그머니 화단에 진입하고 평생을 바쳐 일궈야 할 예술을 마치 아무나 하는 가벼운 장난처럼 농단했다”며 불쾌감을 표했다. 화가 안창홍은 “요즘 점점 젊은 화가들이 기획자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은 사실이고,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미술은 정신의 산물이고 육체의 노고를 통해서 생산되는 작품만이 감동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조씨의 그림을 취급해 온 인사동의 리서울갤러리 관계자에 따르면 화투장을 소재로 그린 조씨의 그림은 아트페어에서 호당 30만~50만원에 거래된다. 1호는 엽서 한 장 크기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6-05-18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