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현판 3개, 글자 오류 10년째 방치

경복궁 현판 3개, 글자 오류 10년째 방치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5-18 17:38
업데이트 2016-05-18 17: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선당(輔宣堂)은 본래 ‘보의당’(輔宜堂)

 한자 표기가 잘못된 경복궁 현판 3개가 10년째 오자(誤字) 그대로 방치돼 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복궁 교태전 남쪽 행각의 서편에 있는 보선당(輔宣堂) 현판. 조선시대 자료를 보면 ‘보의당’(輔宜堂)이 맞다. 보의는 ‘천지의 마땅함을 보상하다’는 뜻으로 주역의 ‘보상천지지의’(輔相天地之宜)에서 왔다.  연합뉴스
경복궁 교태전 남쪽 행각의 서편에 있는 보선당(輔宣堂) 현판. 조선시대 자료를 보면 ‘보의당’(輔宜堂)이 맞다. 보의는 ‘천지의 마땅함을 보상하다’는 뜻으로 주역의 ‘보상천지지의’(輔相天地之宜)에서 왔다. 연합뉴스
18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경복궁 교태전 권역의 ‘보선당’과 함원전 권역의 ‘자선당’, ‘융화당’ 현판은 19세기 말 제작된 경복궁 평면배치도인 ‘북궐도형’(北闕圖形), 조선 시대 문헌 ‘궁궐지’(宮闕志), ‘일성록’(日省錄) 등과 대조했을 때 글자에 오류가 있었다. 이들 현판은 모두 1995년 만들어졌다. 문화재청은 2006년 연세대 국학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고궁현판 학술조사 연구용역’ 보고서를 통해 오류를 파악하고서도 10년간 그대로 놔뒀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교태전 남쪽 행각의 서편에 있는 보선당(輔宣堂) 현판은 본래 ‘보의당’(輔宜堂)이다. 보의는 ‘천지의 마땅함을 보상하다’라는 뜻으로 주역의 ‘보상천지지의’(輔相天地之宜)에서 왔다. 함원전 서쪽 행각에 있는 자선당(資善堂)과 융화당(隆化堂)은 각각 자안당(資安堂)과 융화당(隆和堂)이 올바른 표기다.

 보고서는 함원전 권역의 두 현판에 대해 1915년 이후 출판된 자료에 나오는 명칭으로 현판을 새로 교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오류가 확실하다고 판단되는 현판은 교체할 계획”이라며 “수리할 시점이 되면 고증조사와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바꾸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