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만든 디자인으로 상품화... 판매금액 10% 내 손으로 ‘개념 플랫폼’

내가 만든 디자인으로 상품화... 판매금액 10% 내 손으로 ‘개념 플랫폼’

입력 2016-12-14 15:13
업데이트 2016-12-14 15: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난 2014년 8월 세상에 태어난 디자인 저작권 플랫폼 ‘라이크디즈’는 저작권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기존의 시장 분위기를 타파함과 동시에 수익의 일부가 디자인 작가에게 직접 돌아가는 선순환 유통구조를 만들어 좀 더 활발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지난 2014년 8월 세상에 태어난 디자인 저작권 플랫폼 ‘라이크디즈’는 저작권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기존의 시장 분위기를 타파함과 동시에 수익의 일부가 디자인 작가에게 직접 돌아가는 선순환 유통구조를 만들어 좀 더 활발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예술품이 상업화되면서부터 저작권이라는 개념이 생기기 시작했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저작권에 대한 인식과 개념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저작권에 대한 개념을 바로잡고 예술품을 창작하는 디자인 작가에게 수익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움직임이 진행중이다.

지난 2014년 8월 세상에 태어난 디자인 저작권 플랫폼 ‘라이크디즈’는 저작권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기존의 시장 분위기를 타파함과 동시에 수익의 일부가 디자인 작가에게 직접 돌아가는 선순환 유통구조를 만들어 좀 더 활발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라이크디즈에서는 누구나 자신의 디자인을 등록할 수 있다. 온라인 투표를 통해 일정 점수 이상을 통과 하면 해당 디자인이 프린팅 된 다양한 제품이 생산, 판매되어 디자인 작가와 수익을 공유한다. 생산된 제품은 온·오프라인 유통망을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판매금액의 10%는 디자인 작가에게 저작권료로 지급된다.

온라인 투표는 라이크디즈 회원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작품당 1회씩 1~5점까지 점수를 매길 수 있다. 투표에 참여한 회원들에게는 자체 생산한 디자인 제품을 구입할 때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일정 포인트를 적립해주고 있다. 라이크디즈 회원들은 독특한 디자인의 제품들을 구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인트로 저렴하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또한 라이크디즈는 디자인 저작권료를 통해 작가의 활발한 작품활동에 도움을 주며 작가들과 함께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1,100여명의 작가와 협업 중으로, 4개 카테고리 2,000여 제품을 유통 중이다. 현재 반팔티셔츠와 후드티셔츠, 맨투맨티셔츠 등의 의류는 물론 휴대폰케이스, 향수, 아트캔버스 등도 판매 중이며 독특한 디자인과 더불어 자신만의 개성이 담긴 제품을 구매하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라이크디즈 조진우 대표는 14일 “앞으로도 더 다양한 디자인 창작물이 대중들에게 알려지고, 디자인 저작권에 대한 개념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알리는 역할을 하면서 디자인 저작권료 역시 지속적으로 지급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는 포부를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