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석봉이 쓴 ‘의열사기’ 현판, 도록으로 본다

한석봉이 쓴 ‘의열사기’ 현판, 도록으로 본다

김정화 기자
입력 2022-01-13 11:37
업데이트 2022-01-13 1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 중 最古
‘금보개조도감의궤’ 번역 책도 발간

이미지 확대
의열사기 현판. 문화재청 제공
의열사기 현판. 문화재청 제공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한 현판 중 가장 오래된 자료는 서애 류성룡이 짓고 석봉 한호가 쓴 ‘의열사기 현판’인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고궁박물관은 ‘조선왕실의 현판 Ⅱ’ 도록을 공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의열사기 현판은 류성룡이 1581년 4월에 지은 부여 의열사 기문(기록한 글)을 이듬해 새긴 자료다. 크기는 가로 150㎝, 세로 36㎝다.

현판에는 류성룡의 벗인 홍가신이 1575년 부여 현령으로 부임한 뒤의 기록이 담겼다. 백제 의자왕 시기 충신인 성충·흥수·계백과 고려 공민왕 때 신하 이존오를 모시기 위한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이다. 현판 뒤쪽에는 ‘만력 10년 임오년 2월에 걸다.생원 한호가 썼다’는 글이 있다. 도록은 “의열사에는 이후 인목대비 폐모에 반대한 정택뢰, 인조 때 청나라를 공격하려다 죽은 황일호가 추가로 배향됐다”며 “의열사는 1866년 훼철됐다가 1970년 복원됐다”고 설명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고궁박물관 소장 현판은 대부분 조선 후기에 제작됐는데, 의열사기 현판은 이례적으로 시기가 이른 편이다.
이미지 확대
소장품도록 현판. 문화재청 제공
소장품도록 현판. 문화재청 제공
이번 도록은 2020년 발간한 ‘조선왕실의 현판 Ⅰ’의 후속편으로 종묘, 사직단, 사묘, 능원묘, 별궁, 행궁, 궐외각사 등에 걸었던 현판 288점에 관한 정보가 수록됐다. 사묘는 자신은 왕이 되지 못했으나 아들이 왕위에 오른 인물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고, 능원묘는 조선왕실 무덤이다. 별궁은 왕자나 공주가 궁궐 밖에서 거주한 곳, 행궁은 왕이 지방 행차 때 임시로 머무른 거처, 궐외각사는 의정부와 육조처럼 궁궐 바깥에 있던 관청을 뜻한다. 도록에는 현판 사진과 설명은 물론 글씨를 쓰는 관원의 이름을 기록한 뒷면 글씨, 현판이 걸린 건축물 도면 등도 실렸다.

현판을 보면 국정 운영 제도와 특징, 왕의 효심에 관한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예컨대 종묘와 사직단에서 제사를 거행하며 나라 발전과 백성 평안을 기원하거나 조선왕릉을 참배하고 선왕의 공덕을 찬양한 글이 있고, 능 관리와 제사 준비에 소홀함이 없도록 독려하거나 별궁이나 행궁에서 감회를 읊은 글도 있다.
국역 금보개조도감의궤. 문화재청 제공
국역 금보개조도감의궤.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 확대
금보개조도감의궤 표지. 문화재청 제공
금보개조도감의궤 표지. 문화재청 제공
국립고궁박물관은 또 ‘금보개조도감의궤’를 번역한 ’국역 금보개조도감의궤‘도 펴냈다. 금보개조도감의궤는 조선 숙종 31년인 1705년 종묘 정전과 영녕전에 있던 물품을 정비하면서 발간한 책이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있는데, 전쟁 등으로 파손되거나 유실된 종묘의 기물을 보수한 과정을 기록했다.

이에 따르면 당시 임시 관청인 도감(都監)을 설치해 물품을 새롭게 제작해 봉안하고 상을 내린 내용이 담겼다. 번역과 해제 작성을 맡은 최연숙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은 “종묘 물품 정비는 숙종 연간 왕실 권위 회복과 안정을 위한 노력이었다”며 “금보개조도감의궤는 조선시대 장인이 작업한 최고의 작품에 들어간 인력과 비용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라고 평가했다.

김정화 기자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