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떠나는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헤이리에 ‘개방형 수장고’

경복궁 떠나는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헤이리에 ‘개방형 수장고’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6-12-20 21:18
업데이트 2016-12-20 2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설계공모 통해 ‘示間’ 선정

경복궁의 복원 정비계획에 따라 2031년까지 철거돼 이전되는 국립민속박물관이 경기도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인근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외부에 보이는 투명 수장고를 짓는다.

국립민속박물관은 2020년까지 건립될 예정인 ‘신(新)수장고 및 정보센터’를 전시·교육·체험 기능이 특화된 개방형으로 하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기존 박물관들의 ‘보존하는 수장고’가 아닌 ‘보이는 수장고’를 지향해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구현한다는 취지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설계안을 공모해 개방형 수장고에 대한 이해, 유물 보존 환경, 헤이리 예술마을과의 연계성을 기준으로 심사한 결과 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의 ‘시간’(示間)을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는 시간의 켜가 쌓이는 개방형 수장고를 의미하는 ‘시간’의 설계안에 ‘시간을 거닐다’, ‘시간을 마주하다’, ‘시간을 지키다’ 등 세 가지 개념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 건물은 대지면적 6만 5000㎡, 연면적 1만㎡ 규모로 로비에서 관람객들이 수장고를 바로 볼 수 있도록 지어진다. 1층에는 수장전시실, 개방형 수장고, 디스커버리 센터, 보존과학 연구 스튜디오가 들어서며, 2층은 전시와 교육 공간으로 활용된다. 지하 1층에는 일반에 공개하지 않는 수장고가 마련된다.

파주 수장고 건립을 시작으로 국립민속박물관은 ‘경복궁 시대’를 끝내고 파주와 용산으로 이원화된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국립민속박물관은 440억원을 들여 2020년까지 개방형 수장고를 건립하고, 2024년부터 2030년까지 국립중앙박물관이 있는 용산으로 본관 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 경복궁 경내에 있는 국립민속박물관 건물은 2031년에 철거할 예정이다.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은 “설립 70주년을 맞은 국립민속박물관이 건물을 설계하고 짓는 것은 처음”이라며 “관람객들이 탐험가, 큐레이터, 학자의 역할을 경험할 수 있는 열린 수장고로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12-21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