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여년 전 복 빌던 병풍, 새해 萬福을 바라나이다

100여년 전 복 빌던 병풍, 새해 萬福을 바라나이다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6-12-13 17:42
업데이트 2016-12-14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미 ‘곽분양행락도’ 3점 국립고궁박물관서 전시

한국과 미국에 있는 ‘곽분양행락도’(郭汾陽行圖) 세 점이 국립고궁박물관에서 함께 전시된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014년 미국 크리스티 경매에서 매입해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곽분양행락도와 미국 필라델피아미술관, 캔자스대 스펜서미술관이 각각 보유한 동명의 그림을 13일부터 내년 2월 5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리는 ‘만복(萬福)을 바라다’ 특별전에서 공개한다.

위쪽부터 국립고궁박물관, 필라델피아미술관, 스펜서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곽분양행락도.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위쪽부터 국립고궁박물관, 필라델피아미술관, 스펜서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곽분양행락도.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왕실 가례 때 사용… 약 10점 남아

필라델피아미술관과 스펜서미술관의 곽분양행락도는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국외 문화재 보존·복원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에서 최근 보존처리를 마쳤다. 곽분양행락도는 중국 당나라 명장으로 평생 부귀를 누린 곽자의(697~781)가 분양왕에 봉해진 뒤 노년에 연회를 즐기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조선 시대 후기에 길상화(吉祥畵)로 왕실 가례 궁중 행사에 사용됐으며, 국내에 약 10점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병풍 중심부에는 곽자의가 대저택에서 연회를 베푸는 장면이, 오른쪽에는 그의 아내가 연회를 감상하는 장면이, 왼쪽에는 아름다운 정원과 수려한 산세의 모습이 배치된 것이 특징이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일 강연회

19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필라델피아미술관 보유 곽분양행락도의 보존처리 작업 중 병풍 뒤쪽에서 1950년대 발간 신문이 대량으로 발견됐다. 이 작품이 1950년대에 국내에서 수리된 후 미국으로 흘러갔음을 알 수 있다.

스펜서미술관의 동명 작품에선 조선 시대의 토지 매매 문서 50~60장이 배접된 것이 발견됐다. 이 문서들은 관청이 전답마다 세금을 물린 내역을 정리한 ‘수세성책’인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측 소장본 2점은 전시가 끝나면 미국으로 돌아간다. 이번에 전시되는 그림은 모두 조선 후기 작품으로, 구성이 흡사한 8폭 병풍이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오는 20일 강연회를 열어 곽분양행락도의 미술사적 가치와 보존처리 과정을 소개할 예정이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12-14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