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도 운동하고 생존 위해 사기친다

식물도 운동하고 생존 위해 사기친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6-05-20 23:04
업데이트 2016-05-21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혹하는 식물의 뇌/스테파노 만쿠소, 알레산드라 비올라 지음/양병찬 옮김/행성B이오스/248쪽/1만 6000원

예부터 사람들은 식물도 어느 정도 지능을 갖고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본능에 따라 반응하는 붙박이장쯤으로 여겼다. 이 같은 인간 중심적인 알량한 생각은 찰스 다윈에 이르러 산산조각 난다. 다윈은 “식물은 우리 생각보다 훨씬 더 진보한 생물체”라며 자신의 저서를 통해 인간의 오만을 꼬집었다. 그리고 그가 제시했던 담론, 그러니까 ‘진보한 생물체’로서 식물의 본질은 까마득한 후배들이 지은 새 책 ‘매혹하는 식물의 뇌’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과학적으로 입증된다.

인간이 식물을 깔보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움직이지 못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식물도 운동한다. 인간이 ‘시차’ 때문에 이를 알아채지 못할 뿐이다. 심지어 운동의 방향성과 목적까지 한 치 오차 없이 설정한다.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등을 통해 끈끈이주걱 같은 곤충을 잡아먹는 식물 이야기는 익히 들었을 텐데, 이는 그야말로 새발의 피다. 한술 더 떠 ‘사기 행각’까지 벌이는 고단수의 식물도 있다. 특히 흉내쟁이 난초류에 이런 사기꾼이 많은데, 책에 따르면 난초류를 통틀어 3분의1가량이 벌을 기만하며 산다고 한다.

움직이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저자들은 “식물이 인간의 오감 외에 열다섯 가지나 더 많은 감각을 갖고 있다”고 했다. 단지 이를 감지하는 눈, 귀 등 형태상의 기관이 없을 뿐이다. 더 놀라운 건 모든 감각이 전신에 분포돼 있다는 점이다. 어느 한 부분을 잃더라도 생명에 전혀 지장이 없다는 얘기다. 한자리에 고정돼 있기에 망정이지, 식물이 영화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나무의 정령들처럼 움직일 수 있었다면, 인간은 ‘만물의 영장’은 고사하고 하마터면 노예로 살 뻔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05-21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