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삶… ‘단순함’이 중요한 이유는

복잡한 삶… ‘단순함’이 중요한 이유는

함혜리 기자
입력 2016-05-27 23:06
업데이트 2016-05-28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순한 삶/샤를 와그너 지음/문신원 옮김/판미동/240쪽/1만 2000원

이미지 확대
현대인은 삶을 편안하게 해 주는 각종 기기에 둘러싸여 있다. 물질적으로는 분명 풍요로워졌지만 삶은 더욱 각박하다. 여유로워지기는커녕 늘 시간에 쫓기는 건 왜일까. 정보는 넘쳐나는데 무엇을 믿어야 할지, 어디까지가 진실인지 판단이 서지 않는다. 너무 복잡해진 세상에서 우리가 단순한 삶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다.

프랑스의 진보적인 개신교 목사 샤를 와그너는 100년 전에 이미 단순한 삶의 가치를 역설했다. 그는 1895년 파리에서 출간한 책 ‘단순한 삶’(La Vie Simple)을 통해 생각법, 말하기, 라이프스타일, 돈, 인간관계, 교육 등 삶의 전 영역에서 단순함의 가치를 조명하고 구체적인 실천법을 제시했다. 책은 1901년 매클루어 출판사에서 ‘심플라이프’로 번역해 미국에 소개됐으며, 20세기 초 미국에서 심플라이프 열풍을 일으키는 진원지가 됐다.

저자가 전하려 했던 메시지의 핵심은 ‘존재의 행복과 아름다움은 단순함의 정신에 원천을 두고 있으며, 단순한 삶이 곧 가장 인간적인 삶’이란 것이다. 그는 책에서 “단순함은 기술이기에 앞서 마음가짐”이라고 강조하면서 진정으로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이 지향하고자 하는 삶의 요체를 먼저 이해하고, 이를 일상생활에 적용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그는 서문에서 “단순한 삶을 열망하는 것은 말 그대로 가장 고결한 인간의 운명을 완수하고자 하는 열망”이라며 “더 나은 정의와 빛을 향한 인간의 움직임은 모두 더 단순한 삶을 향한 움직임이었다”고 말한다. 이어 우리의 삶은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졌지만 “없는 것 없이 다 가졌으면서도 만족할 줄 모르는, 버릇없는 아이의 투정과도 같은 복잡한 정신 상태”라고 지적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이로 인해 본질적인 것과 부수적인 것을 혼동하며 내면의 법칙을 세우지 못했다는 것이다. 아울러 “자신이 원하는 존재방식에 가장 큰 관심을 기울일 때, 아주 솔직하게 그저 한 인간이고 싶을 때 가장 단순하다”며 본질적인 것과 부수적인 것 사이에서 내면의 법칙을 세울 것을 권한다.

다소 밋밋해 보이지만 책에는 복잡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독자들이 충분히 되새길 만한 성찰들이 가득하다. “음식, 옷, 집에 대한 취향의 단순함은 독립과 안전의 원천이다. 단순하게 살수록 미래는 보장되고, 예기치 못한 사건이나 불운에도 흔들리지 않는다.” “집과 옷에 기품과 매력을 불어넣기 위해서 꼭 부자일 필요는 없다. 훌륭한 안목과 선의만 있으면 된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6-05-28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