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작가’가 죽음을 두려워한 이유는

‘죽음의 작가’가 죽음을 두려워한 이유는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06-03 17:42
업데이트 2016-06-03 17: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웃으면서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법/줄리언 반스 지음/최세희 옮김/다산책방/408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우리가 예술을 탄생시키는 이유는 죽음을 무릎 꿇리려고, 안 되면 최소한 반항이라도 해보기 위해서일까. (중략) 실상은 사형수 독방의 벽을 긁어대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가 그러는 이유는 말하고 싶기 때문이다. 나도 여기 있었다, 라고.”

영국 대표 작가 줄리언 반스의 소설은 ‘죽음의 계보’라 해도 틀리지 않는다. 소멸에 대한 공포에 잠식된 소년이 등장하는 첫 소설 ‘메트로랜드’부터 노년을 응시한 단편집 ‘레몬 테이블’, 자살과 기억을 다룬 맨부커상 수상작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등 그의 대표작들은 죽음을 여러 갈래로 변주하기 때문이다.

올해 칠순에 이른 작가가 2008년 발표한 에세이 ‘웃으면서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법’은 그 결정판이라 할 만하다. 여느 이름난 작가들이 그렇듯 그는 사생활 공개를 꺼리기로 유명하다. 이번 에세이에서는 예외다. 그는 교장을 지낸 할아버지부터 유럽 유수의 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쳐 온 교수 형에 이르기까지 가족들의 뒤틀린 관계를 드러내는 걸 불사하며 가족의 죽음에 얽힌 이야기를 때론 유쾌하고 때론 통렬하게 풀어놓는다.

작가는 자신이 존경했던 쥘 르나르, 쇼스타코비치, 몽테뉴, 플로베르, 스탕달 등 세기의 위인들이 말한 죽음에 대한 경구도 장황하게 펼쳐놓는다. 그러면서 독자들에게 ‘어떻게 죽음을 받아들이고 준비해야 하는가’란 질문과 답을 교차하며 건넨다.

“그가 이렇게까지 절박한 건 어쩌면 작가로서 절멸하는 게 두려워서인지도 모른다”는 역자의 말처럼 반스가 가장 두려워하는 건 ‘존재의 소멸’이 아니라 ‘작품이 잊힐 가능성’, ‘최후의 독자마저 잃을 가능성’인 듯하다. ‘나도 여기 있었다’라는 분명한 명제마저 희미해지는 순간이야말로, 우리가 죽음을 두려워하는 이유이기 때문이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6-04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