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변천사 통해 본 한국 도시의 원류

경성 변천사 통해 본 한국 도시의 원류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16-12-09 18:52
업데이트 2016-12-09 19: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염복규 지음/이데아 펴냄/416쪽/2만 2000원

이미지 확대
서울 종묘와 창덕궁·창경궁을 가로질러 안국동에서 이화동으로 넘어가는 율곡로. 이 도로 때문에 창덕궁·창경궁과 공간적으로 분리된 궁궐의 뒤뜰을 최근까지 비원이라 불렀다. 약 20년 걸려 1932년 완공된 이 도로는 창경궁 내에 동물원과 식물원을 지으며 조선의 궁궐을 유원지 격인 창경원으로 격하시킨 일과 함께 흔히 일제의 패악으로 여겨지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그런데 이 도로 건설을 놓고 조선 황실과 일반인의 시각이 달랐다는 점이 흥미롭다. 조선의 지배 세력은 종묘의 존엄을 훼손하는 행위로 봤지만, 일반 백성들은 교통의 편리를 늘리는 일로 받아들였다. 1910년대 남대문과 을지로 일대 개발이나 1920년대 종로 일대 도시 개발을 당시 경성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이나 친일파들이 반대하며 조선인을 대변했다는 점 또한 흥미롭다. 토지 보상 등을 둘러싸고 일반 일본인들의 사익에 반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된 결과였다.

도시사 전공자로 서울을 집중 탐구하고 있는 저자는 ‘현대 서울’의 기원을 일본 제국이 설계한 식민지 시기 경성의 청사진에서 찾는다. 일제는 다양한 제도와 질서를 근대와 문명의 이름으로 한반도에 이식했는데 그중 하나가 도시 계획이다.

저자는 1910년 8월 병합에서 1945년 8월 해방까지 일본이 도입한 서구, 또는 일본을 경유한 서구와 대면한 경성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찬찬히 살핀다. 우리 근대성의 뿌리를 찾아가는 과정이나 마찬가지다.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았든 일제 잔재의 상당 부분이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는 것은 우리가 품었던 탈중세에 대한 열망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라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저자는 “식민자가 주도한 다양한 개발이 전개된 경성의 도시 건설과 변용, 그에 대한 도시 사회의 대응과 변화는 이 과정에서 내면화된 한국적 근대의 심연을 들여다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고 설명한다. 또 “20세기 한국에서 도시의 발달은 전국 도시의 ‘서울화’”라면서 “식민지 시기 경성의 변화는 해방 이후 현대 한국 도시 일반의 변화를 선행적으로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덧붙인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6-12-10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