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템스강에 떠 있는 ‘타임머신’… 낡은 껍질 벗고 새 삶 향해 나아가다 [정여울의 힐링 스페이스]

템스강에 떠 있는 ‘타임머신’… 낡은 껍질 벗고 새 삶 향해 나아가다 [정여울의 힐링 스페이스]

입력 2023-01-01 20:16
업데이트 2023-01-02 0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8>영국 런던 ‘밀레니엄브리지’

옛것과 새것 연결 ‘시간의 다리’
각양각색 사람들 만날 수 있어
추억의 공간이자 대화의 공간

올해는 무력감에 지지 않을 것
더 많은 사람들과 희망 나누는
마음속 ‘밀레니엄브리지’ 창조
이미지 확대
350여년 전통을 가진 영국 국교회의 상징 세인트폴 대성당에서 템스강 방향으로 뻗은 현수교 밀레니엄브리지는 강으로 나뉜 런던을 이어 준다. 밀레니엄브리지를 따라 대성당의 반대편으로 넘어가면 화력발전소를 리모델링해 만든 테이트모던 미술관을 만난다. 밀레니엄브리지는 옛것과 새것을 연결하는, 말 그대로 새천년을 잇는 다리다. 이승원 작가 제공
350여년 전통을 가진 영국 국교회의 상징 세인트폴 대성당에서 템스강 방향으로 뻗은 현수교 밀레니엄브리지는 강으로 나뉜 런던을 이어 준다. 밀레니엄브리지를 따라 대성당의 반대편으로 넘어가면 화력발전소를 리모델링해 만든 테이트모던 미술관을 만난다. 밀레니엄브리지는 옛것과 새것을 연결하는, 말 그대로 새천년을 잇는 다리다.
이승원 작가 제공
2023년 새해를 맞아 유난히 그리운 공간은 영국 런던의 밀레니엄브리지다. ‘새것’의 권력이 ‘옛것’의 소중함을 너무 쉽게 앗아 가는 세상에서 나는 언제나 새것보다는 옛것에 애착을 느끼는 사람이었다. 나는 여전히 트렌드보다는 노스탤지어에 이끌린다. 그러나 런던의 밀레니엄브리지는 예외였다. 나는 런던의 다른 오래된 건축물들 못지않게 새로운 건축물, 밀레니엄브리지가 좋다. 밀레니엄브리지는 예스러운 런던과 새로운 런던을 연결해 주는 시간의 다리다. 그곳을 지날 때마다 나는 낡은 과거의 껍질을 벗고 새로운 삶을 향해 나아가는 느낌이 들었다. 그러면서도 옛것과 여전히 자연스럽게 연결돼 있는 느낌이 좋았다. 새것이 옛것과 불화하지 않고 오히려 서로에게 더욱 조화로운 버팀목이 돼 주는 듯한 공간이 바로 이곳이다. 런던은 웨스트민스터 사원처럼 오래된 장소와 테이트모던 미술관처럼 새로운 장소가 기묘하게 잘 어우러지는 도시다. 옛것과 새것의 상징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해 주는 건축물이 바로 밀레니엄브리지다.

물론 밀레니엄브리지에서는 사람이 살 수 없고, 너무 덥거나 추울 때는 오래 서 있기도 힘들다. 런던에 사는 사람들에게 이곳은 ‘오래 머무는 공간’이기보다 ‘잠깐 지나가는 공간’일 것이다. 집처럼 오래 머물 수도 없고 공원 벤치처럼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도 없지만 내게 밀레니엄브리지는 추억의 공간이자 대화의 공간이다. 나는 이곳에서 런던을 하염없이 바라봤고, 함께 여행을 떠난 사람들과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대화를 나눴다. 걸으면서도 다음 목적지를 굳이 떠올리지 않았기에 차분히 쉬어 가는 느낌이었고, 가만히 서 있을 때조차도 어딘가에 멈춰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밀레니엄브리지는 템스강 위에 떠 있는 거대한 배 같기도 했고, 세인트폴 대성당과 같은 고풍스러운 공간에서 테이트모던 미술관처럼 매번 새롭게 다시 태어나는 공간으로 이동하는 타임머신 같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현수교이자 인도교인 밀레니엄브리지를 오가는 사람들. 다리는 템스강 횡단을, 하염없는 휴식을, 길거리 공연을 듣는 시간을 가능하게 하는 자유로운 공간이기도 하다. 이승원 작가 제공
현수교이자 인도교인 밀레니엄브리지를 오가는 사람들. 다리는 템스강 횡단을, 하염없는 휴식을, 길거리 공연을 듣는 시간을 가능하게 하는 자유로운 공간이기도 하다.
이승원 작가 제공
●학창 시절 ‘틈새 공간’에서 안식 느껴

밀레니엄브리지를 사랑하는 내 마음 깊은 곳을 들여다보니 학창 시절의 기억이 숨어 있었다. 학창 시절 나는 ‘사람들이 그저 스쳐 지나가는 공간’을 좋아했다. 음악 감상실이나 여학생 휴게실처럼 조용히 나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공간도 좋았지만 내심 더 좋아한 공간은 사람들과 함께하면서도 동시에 혼자의 시간을 누릴 수 있는 공동공간이었다. 나는 ‘해방터’라 불리는 인문대 광장에서 벤치에 앉아 있는 시간, 시멘트 계단에 앉아 있는 시간을 좋아했다. 광장의 계단이나 벤치에 앉아 책을 읽고 있으면 누군가 꼭 내 이름을 불러 줬다. 그곳은 말 그대로 누구나 지나가는 공간이었기에 바삐 뛰어서 수업을 들으러 가는 선후배들이 내게 말을 걸어 줬던 것이다. 사람들은 다 바쁘게 움직이는데 나만 혼자 멈춰 있는 듯한 그 기묘하게 정체된 느낌을 나는 사랑했다. 타인과 함께하면서도 동시에 나 홀로 있을 수 있는 곳. 지나가는 사람들은 가던 길을 기꺼이 멈추고 나와 오래오래 이야기해 주기도 했고, 내 안부를 걱정하며 무슨 일 있냐고 물어 주는 사람도 있었고, 심지어 내가 잃어버린 수첩이나 학생증을 갖다주는 사람도 있었다. 나는 우리 과 앞 작은 벤치를 ‘빨랫줄’이라고 불렀는데, 어느 순간 친구들이 그 별명을 따라 부르기 시작했다. 그 벤치 앞에 앉아 있으면 내가 빨랫줄에 널려 바람에 나부끼는 오색빛깔 빨래가 된 느낌이었기에. 그 느낌이 참 좋았다. 나는 세상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조금 뒤처지는 듯한 내 모습을 사랑했던 것이다. 굳이 무엇을 열심히 하지 않아도 좋은 공간, 용도가 정해져 있지 않은 공간, 사람과 사람, 공간과 공간 사이에 있는 틈새 공간이야말로 내가 진정한 안식을 느끼는 공간이었다.

●하루에도 몇 번씩 과거와 미래 여행

밀레니엄브리지는 내게 그런 휴식의 공간, 사이의 공간을 만들어 줬다. 어디로 가야 한다는 목표로부터 자유로운 곳. 스케줄을 위해 빨리 이동해야 한다는 압박감, 공부를 하거나 일을 해야 한다는 강박에서 자유로운 곳. 산책이나 담소처럼 전혀 생산적으로 보이지 않는 몸짓조차도 그곳에 있으면 아름답고 가치 있는 일이 되는 그런 곳이 좋다. 또 어떤 실용적 목표가 뚜렷하게 정해진 장소가 아닌, 사람들이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공간이 될 수 있는 그런 열린 공간이 좋다. 밀레니엄브리지에서 기타를 치며 버스킹을 하면 그곳은 바로 공연장이 될 수도 있고, 그곳에서 누군가 연설을 한다면 다리 자체가 거대한 광장이 될 수도 있다. 스쳐 갈 것인가, 머물 것인가. 그것은 각자의 선택이기에 누구도 방해받지 않는 자유로운 공간이 된다.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각양각색의 사람들을 언제든지 볼 수 있는 곳, 게다가 입장료가 전혀 없는 곳이 바로 밀레니엄브리지였던 것이다.

이런 곳에서는 문득 어제와 조금 다른 나, 모처럼 가슴을 활짝 펴고 세상을 관찰하는 나, 자아실현이라는 강박에서 벗어난 나를 만날 수 있다. 바쁠 때는 어쩔 수 없이 빨리 지나치는 공간이지만 시간만 있다면 오래오래 머물며 시간이 흘러가는 소리를 듣고 싶은 곳이다. 그럴 때 비로소 밀레니엄브리지는 추억이 만들어지는 공간,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공간, 내 삶의 어느 한 조각을 두고 와도 좋은 공간이 된다. 이곳은 나의 멘토 황광수 선생님과의 추억이 서려 있는 곳이기도 하다. 선생님과 나, 이승원 사진작가는 밀레니엄브리지에서 오랫동안 산책하며 이야기를 나눴다. 우리는 밀레니엄브리지에서 시간의 흐름을 잊었다. 템스강 위로 뭉게뭉게 구름이 피어오르는 것을 한참 바라보며, 그저 그 광경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살아 있음의 기쁨을 느꼈다. 낮에는 유서 깊은 셰익스피어글로브에서 연극 ‘클레오파트라’를 봤고, 저녁 무렵에는 테이트모던 미술관에서 최첨단의 유행을 이끌어 가는 전시를 관람했다. 밀레니엄브리지를 사이에 두고 하루에도 몇 번씩 과거와 미래를 여행하는 느낌이었다.

●어린 동생 업은 소년 보고 ‘울컥’

오래전 밀레니엄브리지를 걷다가 한 소년을 보았다. 여덟 살이나 아홉 살쯤으로 보이는 깡마른 소년이 어린 동생을 업고 걸어가고 있었다. 주변에 어른이 보이지 않았다. 아이가 아이를 업고 가고 있었다. 가슴이 저렸다. 소년의 야윈 다리 때문에 더욱 가슴이 시렸다. 두 아이 모두에게 더 따스한 보살핌이 필요해 보였다. 그 아이를 하염없이 바라보다가 갑자기 깨달았다. 나는 ‘가족’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해 여행을 떠나왔다는 것을. 그런데 그 아이는 가족을 굴레나 짐으로 생각하는 것 같지 않았다. 내가 여행을 떠났던 것은 온갖 짐과 굴레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서였는데. 짐보다 더 무겁고 짐보다 더 아픈 자신의 운명을 짊어지고 걸어가는 또 다른 아이를 만난 것이다. 그 아이가 나 같아서, 아니 나보다 더 어른스러운 것 같아서, 나 자신이 부끄러워졌다. 자신도 보살핌이 필요한 어린아이면서도 자신보다 더 어린 동생을 업고 가며 활짝 웃는 소년이라니. 소년은 아무런 불평 없이 운명을 등에 짊어진 채 씩씩하게 밀레니엄브리지를 걸어가고 있었다. 아이의 환한 미소 때문에 오히려 내 눈에는 눈물이 맺혔다.

2022년에는 소중한 존재들을 너무 많이 잃어버려서 내내 마음 아픈 시간을 보냈다. 그런데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는 생각에 더욱 가슴 아팠다. 무력감이라는 장애물 앞에서 나는 속수무책이었다. 2022년에 배운 것은 어떤 우울과 슬픔보다도 무서운 감정은 무력감이라는 점이었다. 소중한 존재를 잃어버릴 때마다 아무것도 제대로 해낼 수 없는 나의 무력감을 만나곤 했다. 2023년에는 무력감에 지지 않는 내가 되고 싶다. 더글러스 맬럭의 시 ‘누구나 살아서 할 일은 있다’에서처럼 언덕 위의 소나무가 될 수 없다면 한 포기 풀이 되고, 고속도로가 될 수 없다면 오솔길이 되고, 태양이 될 수 없다면 별이 되고 싶다. 나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며 더 많은 사람들과 연대하고 싶다. 2023년에는 무력감에 지지 않으리라. 그곳이 어디든, 내가 머무는 나의 자리에서 최고의 빛을 이끌어 내는 삶을 꿈꾼다. 더 많은 사람들과 삶의 온기와 희망을 나눌 수 있는 우리 안의 또 다른 밀레니엄브리지를 창조하고 싶다.

문학평론가·작가
2023-01-02 2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