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특성 비슷한 주변섬 묶어 정부 주도로 공동개발 나서야”

[커버스토리] “특성 비슷한 주변섬 묶어 정부 주도로 공동개발 나서야”

입력 2013-02-02 00:00
업데이트 2013-02-02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섬 개발 이렇게… 전문가 진단

전문가들은 정부나 자치단체의 개발 계획에서 섬이 홀대받는다고 입을 모았다. 농촌에 쏟는 관심에 비하면 무시도 그런 무시가 없다는 것이다. 신순호 목포대 지적학과 교수는 “농촌의 이농보다 섬의 이도(離島) 현상이 더 심각한데 홀대가 심하다”며 “섬 개발은 주민에게만 맡겨서는 안 되고 정부나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섬의 특성을 무시한 개발은 별 의미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중해의 유명 섬들처럼 모든 섬이 관광지 개발에 중점을 둬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수도권과 가까운 섬은 관광지 개발로 외지인을 끌어들일 수 있으나 먼 섬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후자는 주민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사업으로 사람을 끌어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섬의 경쟁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접근성을 높이려는 노력 등 적극적인 도서 개발을 주문했다.

김현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발전연구실장은 테마별로 섬을 묶어 공동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성격이 비슷한 섬을 핵심과 주변으로 나눠 한데 묶고 여러 분야에서 나서 도와주는 방식이 바람직하다”며 일본의 나오시마 섬을 성공 모델로 꼽았다. 세토 내해의 작은 섬 나오시마는 ‘예술 섬’이다. 20여년 전만 해도 구리 제련소에서 나오는 폐기물로 황폐했지만 기업과 주민, 자치단체 등이 나서 세계적 건축가 안도 다다오에게 섬을 예술 공간으로 되살려 달라고 부탁했다. 그 결과 자연을 파괴하지 않기 위해 땅속에 지은 지중 미술관과 폐가를 예술 공간으로 바꾼 집 프로젝트 등 섬이 예술혼으로 가득 차 해마다 전 세계에서 수십만명이 찾아온다.

김 실장은 “우리나라는 홍어로 유명한 흑산도처럼 자연스럽게 이름이 널리 알려진 섬이 대부분이지만 타이완의 어떤 섬은 고량주를 명품화해 외지에서 이 술을 마시러 많이 찾아온다”면서 “해삼 등 비슷한 특산물을 생산하는 섬끼리 연대해 인위적이고 창의적으로 공동 명품화해 브랜드 파워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성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은 섬 하나를 대상으로 정부나 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사업 기간이 1~3년의 단기에 그치는 점을 꼬집었다. 그는 “그렇다 보니 판박이 사업이 많고 효과도 잘 나타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강신겸 교수는 “관광객을 위한 섬 개발이 많다”며 섬은 외지인 입장에서 개발하면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섬 사람이 먼저 온전히 살도록 주민 소득을 올리는 사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외지나 관광객과 연계한 개발은 그다음”이라고 강조했다. 강 교수는 “1980년 홍도, 1990년 보길도, 1995년 외도, 2007년 청산도와 증도 등으로 인기 섬이 바뀌어 왔다”며 “섬을 개발해도 트렌드를 꼼꼼히 살핀 다음에 착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3-02-02 1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