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비상체제’ 전환

청와대 ‘비상체제’ 전환

입력 2013-02-12 00:00
업데이트 2013-02-12 1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와대는 12일 낮 북한의 핵실험이 감지된 직후 ‘비상대응 체제’로 전환하고 대응책 마련에 주력했다.

정권 이양을 불과 13일 앞두고 핵실험 사태가 터짐에 따라 자칫 정부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우왕좌왕 할 경우 사회가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진파가 포착됐다는 보고를 받자마자 곧바로 오후 2시 예정된 수석비서관회의를 취소했다.

대신 이보다 1시간 앞당겨 이른바 ‘지하벙커’로 불리는 국가위기관리 상황실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했다.

동시에 이 대통령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을 포함한 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정상들과 전화 통화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즉각 강력한 대북 제재안 마련에 나설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또 박근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측과도 북한의 핵실험 관련 정보를 제공하면서 차기 정부가 들어서도 대북 전략에 차질이 없도록 하고 있다.

특히 천영우 외교안보수석비서관과 안광찬 국가위기관리실장을 비롯한 외교안보라인 관계자들은 북한발(發) 지진파의 세기와 파형 등을 분석해 핵실험 종류를 파악하는 데 주력했다.

외교안보라인 이외의 수석실 직원들도 오찬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사무실에 복귀해 청와대는 ‘비상대응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군 당국 역시 주한미군 측과 긴밀한 공조하에 군사대비태세를 한 단계 격상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다만, 이미 지난해 12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후속 조치로 추가 핵실험이 예견됐던 만큼 그동안 마련한 대응 방침에 따라 차분히 대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