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정무수석 이정현, 경제수석 조원동 내정

靑 정무수석 이정현, 경제수석 조원동 내정

입력 2013-02-19 00:00
업데이트 2013-02-19 1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교안보 주철기·고용복지 최성재·교육문화 모철민·미래전략 최순홍

새 정부 출범을 6일 앞두고 청와대 수석비서관 진용이 갖춰졌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 등의 지명에 이어 19일 이정현 당선인 비서실 정무팀장을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에 내정하는 등 수석비서관 6명을 추가 인선했다.

19일 내정된 ‘박근혜 정부’ 청와대 수석 비서관 내정자들. 위 왼쪽부터 이정현 정무수석, 주철기 외교안보수석, 조원동 경제수석, 아래 왼쪽부터 최성재 고용복지수석, 모철민 교육문화수석, 최순홍 미래전략수석. 연합뉴스
19일 내정된 ‘박근혜 정부’ 청와대 수석 비서관 내정자들. 위 왼쪽부터 이정현 정무수석, 주철기 외교안보수석, 조원동 경제수석, 아래 왼쪽부터 최성재 고용복지수석, 모철민 교육문화수석, 최순홍 미래전략수석.
연합뉴스
외교안보수석에 주철기 유엔 글로벌콤팩트(UNGC) 한국협회 사무총장, 경제수석비서관에 조원동 조세연구원장, 고용복지수석에 최성재 서울대 명예교수, 교육문화수석에 모철민 예술의전당 사장, 미래전략수석에 최순홍 전 유엔 정보통신기술국장이 내정됐다.

윤창중 대통령직인수위 대변인은 이날 삼청동 인수위에서 이 같은 인선 내용을 발표했다. 전날 발표된 유민봉 국정기획수석, 곽상도 민정수석, 이남기 홍보수석 내정자와 더불어 청와대 수석비서관 9명의 인선이 완료됐다.

장관급인 3실장은 허태열 비서실장-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박흥렬 경호실장의 3실장 체제로 갖춰진 상태다.

’박근혜 정부’의 1기 청와대는 박 당선인의 ‘친정체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 당선인은 당초 대통령실장의 격을 비서실장으로 낮추면서 ‘낮은 비서실’을 모색한다는 구상으로 알려졌으나 허태열 비서실장-이정현 정무수석 등 최측근이 배치되면서 오히려 ‘강한 청와대’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관료 중심의 내각과 달리 박 당선인과 함께 일해온 인사가 청와대에 중용된 점도 주목된다. 인수위원이나 인수위 전문위원 출신이 유민봉 내정자 등 4명에 달한다. 또 3실장9수석비서관 가운데 성균관대 출신이 5명으로 가장 많다.

박 당선인은 수석비서관 이하 35명의 비서관에 대한 후속인선에 나설 계획이다.

조만간 청와대 대변인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원조회 등 빠듯한 일정 때문에 35명의 비서관 인선은 순차적으로 이뤄지면서 취임 후에야 끝날 가능성도 있다.

전남 곡성 출신의 이정현 내정자는 새누리당 최고위원으로 박 당선인의 대변인 역할을 했던 친박(친박근혜) 핵심이자 최측근 인사다.

강원 원주 출신의 주철기 내정자는 외무고시(6회) 출신의 정통 외교관으로 프랑스 대사, 외교통상부 본부대사, 모로코 대사을 지냈다.

조원동 내정자는 충남 논산 출신으로 기획재정부에서 잔뼈가 굵은 정통 경제관료다. 옛 재경부 경제정책국장, 차관보, 국무총리실 국정운영실장 등을 거쳤다.

서울 출신인 최성재 내정자는 박 당선인의 국가미래연구원 소속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장을 역임했다. 박 당선인의 복지정책을 입안한 인사 가운데 한 명이다.

모철민 내정자도 서울 출신이며,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을 역임한 후 인수위를 거쳐 청와대에 입성하게 됐다.

최순홍 내정자는 국제통화기금(IMF) 정보기술총괄실장을 거쳐 유엔 정보통신기술국장으로 활동했다. 박 당선인과 같은 서강대 전자공학과 출신이다. 지난 새누리당 대선선대위에서 과학기술특보로서 박 당선인에게 자문역할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