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장 교체되나…기재·국방장관 임명은 언제

감사원장 교체되나…기재·국방장관 임명은 언제

입력 2013-03-18 00:00
업데이트 2013-03-18 09: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핵심 “꼭 감사원장 아니더라도 알아서 처신해야” 교체 예상

정부조직법 대치 정국이 막을 내리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남은 주요인선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릴지가 정치권의 관심사다.

현재 인선이 유동적인 자리는 감사원장,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장관 그리고 국방부장관이다.

양건 감사원장은 헌법에 보장된 임기가 2년가량 남았지만 교체 여부가 주목된다.

현오석 기재부장관 내정자와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는 국회 인사청문과정은 마쳤지만 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하지 못할 정도로 야당의 반대가 거세 임명이 미뤄진 상태다.

양 감사원장의 경우, 비록 헌법에 임기가 보장돼 있지만 청와대 내 교체 기류가 점차 강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8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꼭 감사원장이 아니더라도 가급적 새 정부의 새로운 의지와 새로운 각오, 새로운 분위기에 맞춰 기관장이나 국영기업체 수장들도 자신들이 알아서 처신을 좀 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경찰청장도 교체되지 않았느냐”고 말했다.

감사원장 교체 가능성을 에둘러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른 관계자도 “박 대통령과 국정철학을 공유해야 한다고 말하지 않았느냐. 교체 분위기가 많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공감했다.

물론 이 경우, 헌법에 보장된 감사원장 임기(4년)조차 정치적 이유로 지키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는 점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현오석·김병관 내정자의 경우, 박 대통령의 임명 강행 입장은 변함이 없어 보인다.

박 대통령은 현재 경제·안보 위기가 심각한 만큼, 수장의 공백을 계속 내버려둘 수 없다는 생각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자신이 한 인사를 철회할 경우, 정부출범 초반 국정운영 추동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큰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47일간의 줄다리기 끝에 여야가 간신히 정부조직 개편안 협상을 타결한 만큼, 야당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정부조직 개편안이 국회를 통과하기 전까지는 임명을 강행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조직법 통과 이전에 두 내정자를 임명할 경우, 국회 통과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핵심관계자가 두 사람의 임명 여부에 대해 “일단 그 문제는 좀 조용하게 지켜봐달라. 야당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고 말한 것은 이런 뜻을 담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이 관계자는 “당장은 임명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해 현·김 내정자 임명 여부는 시기의 문제일 뿐임을 시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