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국조 무력화 안돼” 맞불…반전책 부심

민주 “국조 무력화 안돼” 맞불…반전책 부심

입력 2013-07-12 00:00
업데이트 2013-07-12 1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귀태발언’계기 與 공세에 ‘발끈’…일각선 “신중해야”

민주당은 12일 청와대와 새누리당에 대해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사건 국정조사에 대한 ‘물타기 시도’를 중단해야 한다고 거세게 몰아붙였다.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변인이 박근혜 대통령을 의역하자면 ‘태어나지 않아야 할 사람’이라는 뜻인 ‘귀태’(鬼胎)의 후손으로 비유한 데 대해 대국민 사과 및 의원직 사퇴 요구, 국회 일정 전면 불참 등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대대적인 공세가 전개되자 이에 ‘맞불’을 놓은 형국이다.

새누리당의 공세에 밀릴 경우 국정원 국정조사와 2007년 정상회담 대화록 열람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것은 물론 정국 주도권을 빼앗길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김한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본질을 가리기위해 정부·여당과 국정원이 총동원돼 국정원 국정조사의 무력화를 시도해도 우리는 결코 넘어가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청래 의원 등 민주당 국정조사 특위 위원들도 기자회견을 갖고 “새누리당이 특위를 ‘개점휴업’ 상태로 만든데 이어 ‘폐업’까지 시키려는 의도를 갖고 있는 것”이라며 “한나라당이 ‘차떼기 정당’으로 기억되는데 새누리당은 ‘물타기 정당’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국정조사 재개를 요구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국정원에 이어 국방부가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에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NLL(서해북방한계선)을 포기했다는 취지의 해석을 내놓자 이를 강하게 비판했다. 김 대표는 “국정원과 군을 정치의 한 가운데에 동원한 게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인가”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NLL 문제와 국정원 국정조사는 별개가 아니라 일심동체, 동전의 앞뒷면”이라며 “박 대통령은 국정원의 불순한 정치개입을 사과하고 남재준 국정원장을 해임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유은혜 은수미 의원 등 초선 의원 18명도 기자회견을 갖고 “군부와 정보기관의 힘에 기대어 종신대통령을 꿈꾸었던 유신시대가 떠오르고 신하들의 일은 신하들이 알아서 처리하라는 전제군주의 모습이 연상된다”고 박 대통령을 겨냥했다.

민주당은 ‘귀태 발언’을 빌미로 대화록 열람은 물론 모든 국회 일정을 전면 취소하고 나선 데 대해서도 ‘국정원 국조 물타기’의 연장선상으로 받아들이며 ‘발끈’했다.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대화록 열람이 국정불안과 국론분열을 막기 위한 것인데, 여당이 취소한 것은 용납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여론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국정조사 재개 등을 위한 국면전환책을 찾는데 부심하는 표정이다. 김한길 대표와 전병헌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뒤 머리를 맞대고 이 문제를 논의하는 등 돌파구 마련에 부심중이다.

이런 가운데 홍 원내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상황에 따라 당직 사퇴로 책임을 지겠다고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했다.

그는 향후 대응에 대해 “지도부와 의논해 판단하겠다”면서 “다만 당과 원내 운영에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 정리할 부분이 있다면 정리하겠지만, 새누리당이 원한다면 (귀태발언이 확대해석된 데 대해) 논쟁을 해도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