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文, 대화록 사태 장본인”…확전자제론도

與 “文, 대화록 사태 장본인”…확전자제론도

입력 2013-07-24 00:00
업데이트 2013-07-24 16: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3자적 태도는 졸렬, 檢수사 직접 요청하라”중진·소장파 일각 ‘정쟁중단’ 촉구

새누리당은 24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노무현 정부’가 폐기했다는 ‘심증’을 굳히고 칼끝을 문재인 의원을 포함한 친노(친노무현) 진영에 겨눴다.

새누리당은 대화록 증발에 대한 즉각적인 검찰 수사를 촉구하는 것은 물론 이번 사태가 위중하다고 보고 문 의원의 정계은퇴까지 거론했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논란이 ‘사초(史草) 증발’ 정국으로 전환된 뒤 숨돌릴 틈 없이 민주당을 몰아붙이는 형국이다.

그동안 대화록 문제는 원내지도부에 일임하다시피 하고 한 발짝 물러서 있던 황우여 대표는 이날 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포문을 열었다.

황 대표는 “예전에 사초 관련 범죄는 참수로 벌했다”며 이번 사태 책임자들에 대한 엄중 조치를 강조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NLL논란을 종결하자’는 전날 문 의원의 개인성명을 거론하며 “대화록을 열람하자고 주도한 장본인으로서 아무런 해명이나 사과도 하지 않고 뜬금없이 그만두자는 것은 무책임하다”며 입장 표명을 압박했다.

심재철 최고위원은 “문 의원은 사초 증발이 확인된 만큼 정계은퇴를 해야 한다”면서 “(정상회담에 관여했던) 문 의원, 김만복 전 국정원장,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 등 침묵의 삼각관계를 철저히 수사해 사실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기현 정책위의장도 “진실은 은폐할 수 없다”면서 “문재인·조명균·김만복으로 이어지는 ‘버뮤다 삼각지대’에서 대화록이 흔적없이 사라졌는데 최고책임자인 문 의원은 강 건너 불구경하듯 없던 일로 하자고 한다”고 비판했다.

황진하 의원을 비롯한 대화록 열람위원은 오후 성명서를 내고 ▲즉각적 수사의뢰 ▲민주당의 적극적인 수사 협조 ▲대화록 존재 및 행방에 대한 문 의원의 입장 표명을 촉구했다.

홍지만 원내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에서 “문 의원이 지금 와서 논란을 끝내자고 제3자적 발언을 하는 것은 비겁하고 졸렬한 것”이라면서 “사초 실종 사태에 대해 검찰 수사를 문 의원이 직접 요청하라”고 요구했다.

민주당 일각의 특검 수사 주장에 대해선 ‘꼼수’라고 비난했다.

김재원 전략기획본부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특검은 시간을 끌어 궁색한 처지는 면해 보려는 것 아닐까”라며 “조 전 비서관 등을 조사하면 깨끗이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우택 최고위원도 특검에 시간이 걸리는 점을 언급, “정기국회도 정쟁의 소용돌이로 끌어들이겠다는 꼼수”라고 의구심을 보였다.

그러나 정쟁이 장기화하고 여론의 피로감이 누적되면서 당 중진과 소장파 의원을 중심으로 확전 자제 의견이 고개를 들고 있다.

5선의 정의화 의원은 “책임소재 규명은 사법당국으로 넘겨야 한다”면서 “정치가 천만가지 민생을 뒤로하고 같잖은 정쟁의 미로를 헤매고 있는데, 더는 과거의 정상회담 대화록에 매달려 허우적대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장파의 재선 김용태 의원도 “깨끗하게 검찰 수사를 통해 사실 관계를 밝혀야 한다”면서 “나머지 문제는 정치권이 어떻게 매듭지을지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