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원세훈·김용판’ 청문회…여야 격돌 예고

내일 ‘원세훈·김용판’ 청문회…여야 격돌 예고

입력 2013-08-15 00:00
업데이트 2013-08-15 15: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與 “정치공세 차단” vs 野 “대선개입 의혹 규명”김용판 출석·원세훈 ‘고심중’…맥빠진 청문회 될수도

국회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국정조사특위는 16일 원세훈 전 국정원장,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을 증인으로 출석시켜 댓글의혹의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청문회를 실시한다.

이날 청문회는 두 증인의 불출석으로 지난 14일 첫 청문회가 무산된 후 특위가 동행명령장을 발부해 애초 예정에 없이 열리는 것이다.

원세훈 전국정원장(왼쪽)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
원세훈 전국정원장(왼쪽)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
두 증인의 출석여부가 초미의 관심인 가운데 김 전 청장은 출석입장을 밝힌 상태이고, 원 전 원장은 출석을 고심 중인 것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청장의 변호인인 유승남 변호사는 전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14일 청문회는 법원의 공판준비 기일에 출석하느라 나가지 못했다”면서 “김 전 청장과 회의를 거쳐 16일에는 출석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개인비리 혐의로 구속 상태인 원 전 원장의 경우, 이번에도 불출석하면 자칫 마지막 청문회(21일)에서 ‘나홀로 심문’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 처할수 있다는 점에서 16일 김 전 청장과 함께 출석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원 전 원장의 출석 여부가 변수지만, 적어도 김 전 청장이 출석하기로 한 이상 청문회는 정상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증인 29명 가운데 두 증인이 ‘대어급’이라는 점에서 이날 청문회는 45일간 진행돼온 국정조사 활동의 하이라이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청문회에서는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는 여야의 불꽃튀는 심문 대결이 예상된다.

원 전 원장에 대해서는 국정원 댓글작업 및 대선개입 의혹,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의 사전유출 의혹에 질의의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청장의 경우, 지난해 대선 당시 경찰의 댓글사건 축소수사 의혹과 대선 직전인 12월16일 심야 수사결과 발표 경위 등이 쟁점이다.

새누리당은 이들 의혹과 관련해 야권의 근거없는 정치공세 성격이 짙다고 보고 정확한 사실 관계를 파악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특위 소속 김태흠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민주당의 억지부리기 정치공세를 차단하되 각종 의혹·진실규명에서는 충실히 질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은 국정원과 경찰이 조직적으로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부각하면서 새누리당과의 연결고리를 확인하는데 중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특위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검찰의 공소사실에 대해 조목조목 두 사람이 인정하는지 부인하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피겠다”고 말했다.

다만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이 청문회에 모두 출석한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의혹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할 가능성도 있어 일각에서는 맥빠진 청문회가 되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