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노위, ‘4대강 수질악화’ 질타

환노위, ‘4대강 수질악화’ 질타

입력 2013-10-21 00:00
업데이트 2013-10-21 1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21일 지방유역환경청 국정감사에서는 4대강의 수질이 주요 쟁점이 됐다.

야당은 4대강의 수질악화가 ‘이명박 정부’의 역점사업인 4대강 사업 때문이라며 책임론을 부각했다.

새누리당 이완영 의원은 “낙동강 수질 개선에 1999년부터 지난해까지 9조3천억원이라는 막대한 비용을 들이고 있지만 수질은 공업용수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특히 환경부의 낙동강 주요 지점 수질자료를 인용, 지난해 낙동강 중·하류 지역 수질은 BOD(생화학적산소요구량) 2~3mg/ℓ 수준이고, COD(화학적산소요구량)는 공업용수 수준인 7mg/ℓ이하에서 정체된 상태라고 밝혔다.

같은 당 최봉홍 의원은 “4대강 중 강물을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낙동강 중·상류 지역에 대한 집중 관리가 필요하지만 점검인력은 8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장하나 의원은 “4대강 사업 이전에 발견된 법정보호종(멸종위기종·천연기념물) 총 28종이 사업 후 대거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4대강 사업은 단군 이래 최대 생명파괴 잔혹사”라고 비판했다.

장 의원은 환경부의 ‘낙동강살리기 사업 사후환경영향조사 결과보고서’를 토대로 천연기념물인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참수리, 황새, 뜸부기, 검독수리, 소쩍새, 쇠부엉이 등이 4대강 사업 이후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한명숙 의원은 “4대강의 녹조 확산은 4대강 사업으로 인한 보 설치 때문”이라며 “4대강 사업으로 녹조가 중류까지 확대되면서 막대한 세금을 들여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도입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