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당권경쟁 후보군 속속 윤곽…신경전 고조

더민주, 당권경쟁 후보군 속속 윤곽…신경전 고조

입력 2016-04-19 11:17
업데이트 2016-04-19 1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난제 ‘김종인 합의추대론’ 논란 증폭…‘열쇠’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이 새 대표를 선출하기 위한 전당대회 준비에 나선 가운데 당권 경쟁을 위한 대진표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더민주는 이르면 20일 전당대회준비위원회, 조직강화특위, 선거관리위원회 등 전대에 필요한 기구 구성을 끝내고 전대 준비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예정이다.

차기 당권 후보로는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가 거론되고 있으며, 정세균 전 대표, 박영선 전 원내대표, 송영길 전 인천시장, 김진표 전 의원, 정청래 의원 등 이름이 오르내린다.

김 전 의원은 19일 MBC 라디오에 출연해 “정권교체에 필요하다면 당대표든 무엇이든 마다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정 의원은 CBS 라디오에 나와 “전국적으로 강력하게 요청받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 전 원내대표 “고민해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며 출마 여지를 뒀고, 송 전 시장은 이미 총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당선시 당대표 출마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만 두 사람은 중도성향 중진급 모임인 ‘통합행동’ 소속이어서 조율을 통해 후보를 단일화하지 않겠냐는 전망도 있다. 통합행동 소속인 김부겸 전 의원은 전대 불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관측이 강하다.

통합행동의 한 인사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달말에 통합행동 모임을 할 예정이다. 후보를 통일할 수 있다면 통일하는 게 좋지 않겠냐”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김종인 합의추대론’이 여전히 가장 먼저 풀어야할 숙제로 남아있다.

김 대표 측은 수권정당으로의 변화를 위해 총선 승리를 견인한 김 대표의 역할이 남아 있다면서 당내 공감대가 형성되길 기대하는 분위기다.

김 대표 측은 “당내 중진들도 있고 전대 출마하려는 사람들도 있는데 합의가 되면 추대로 가는 것이지만 협의가 안되면 경선을 할 수밖에 없지 않냐”며 “그러나 김 대표는 경선까지 해서 당 대표를 할 생각이 없음이 분명하다. 억지로 합의추대를 받아낼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진표 전 의원은 “추대를 하더라도 전대를 해야 한다. (경선이) 의회민주주의와 정당정치의 정도(正道)”라고 말했다.

정청래 의원은 “‘셀프 합의추대’는 북한 노동당 전대에서는 가능한 일”이라며 당 지도부의 태도가 염치없다고 비판한 뒤 “이번 총선 승리의 견인차는 20대, 30대들이 대거 투표장으로 나온 것 아니냐”, “(승리는) 그 분(김 대표)이 아니었어도 가능했을 것”이라고 연일 김 대표를 공격했다.

또 트위터에 글을 올려 “비리 혐의로 돈먹고 감옥간 사람은 과거사라도 당대표 자격 기준에서 원천배제해야 한다”며 김 대표의 과거사까지 거론했다.

결국 ‘김종인 합의추대론’의 향배는 문재인 전 대표의 의중이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문 전 대표는 지난 8일 “저는 앞으로 당권에는 일체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유력 잠룡인데다 당내 최대 계파를 형성하고 있는 만큼 그의 입장이 최대변수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 문 전 대표가 어떤 태도를 취할지는 그가 지난 1월 김 대표를 영입한 이후 전략적 제휴라는 평가까지 받은 두 사람의 관계가 어떻게 귀결될지와도 연결돼 있다.

한 친문(친문재인) 인사는 “김 대표는 총선에서 1당이 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 일등공신으로 김 대표의 역할은 여전히 필요하다”며 “다만 끝까지 경선하겠다는 사람이 있다면 합의추대는 어려운 만큼 현명한 해결책을 찾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 측은 “합의추대는 당에서 판단할 부분이지, 문 전 대표가 이러쿵저러쿵할 일이 전혀 아니다”며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더 할 말이 없다”고 말문을 닫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