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김희옥 비대위’ 순항할까…내주 전국위서 추인 시도

與 ‘김희옥 비대위’ 순항할까…내주 전국위서 추인 시도

입력 2016-05-26 16:53
업데이트 2016-05-26 16: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박 추천 인사에 비박도 묵인해 출범 전망

새누리당이 26일 우여곡절 끝에 혁신비대위원장에 김희옥 전 정부공직자윤리위원장을 영입함에 따라 4·13 총선 참패 이후 맞닥뜨린 위기를 수습할지 주목된다.

일단 김 전 공직자윤리위원장은 당의 주류 세력인 친박(친박근혜)계의 추천을 받은 데다 정진석 원내대표가 발표 전인 지난 24일 당의 대주주격인 김무성 전 대표, 최경환 의원과도 상의를 거쳤던 만큼 추인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친박계 맏형으로 통하는 서청원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혁신비대위원장으로 내정된 김 전 공직자윤리위원장에 대해 “어려운 당을 위해서 노력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비대위원장이 왔으니까 개혁하고, 당을 잘 이끌어 갈 수 있는 화합형 인물을 추천 받아서 선정하면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박계 한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더이상 혁신비대위원장 선임과 비대위 구성을 둘러싼 논란으로 당이 갈등 구조에 빠져서는 안된다”면서 “전국위에서 통과되리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원내대표와 김 전 대표, 최 의원간 3자회동에서 혁신위와 비대위를 통합해 혁신비대위를 출범하고, 위원장에는 주류와 비주류가 추천하는 인물을 앉힌다는 합의대로 흘러가는 분위기다.

새누리당은 내주초 의원총회를 열어 소속 의원 전체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친 뒤 주중·후반 전국 당원 800여명이 대상인 전국위를 열어 혁신비대위원장 선출 안건을 심의·의결할 예정이다.

여기서 선출안이 통과되면 위원장이 추천하는 비대위원 구성안건을 다시 국회 상임위원장을 비롯한 당 지도부 50여명으로 구성되는 상임전국위에 올려 혁신비대위 구성을 마무리 짓게 된다.

일단 이렇게 혁신비대위만 출범하게 되면 총선 이후 40여일 이어졌던 지도부 공백 상태가 해소되며 가파르게 고조됐던 당 내홍 양상도 당분간 잦아들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지난 17일 정 원내대표는 상임전국위와 전국위를 잇따라 열어 비대위와 혁신위원장 선출안을 처리하려 했으나 강성 비박계 일색이라는 친박계의 거센 반대로 무산되면서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졌다.

다만 혁신비대위원장으로서 권한과 역할은 제한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임기가 전당대회 전까지여서 전대가 7월 말∼8월 초에 열린다면 두 달 남짓 위원장 역할을 수행하고, 김 전 공직자윤리위원장이 법조계 출신이어서 당 내부나 정치권 사정에도 그다지 밝지 않기 때문에 장악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비대위 인선도 친박계와 비박계가 수긍할 수 있는 중립적 인물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치적인 무리수를 두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혁신비대위가 현재 집단지도체제를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개편하는 것을 포함한 민감한 당헌·당규 제·개정이나 유승민 윤상현 의원 등 탈당파 복당 이슈를 건드릴 경우 갈등이 재점화할 가능성도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