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與 원내대표 한 달 정진석…위기 딛고 당 정상화 기반 구축

與 원내대표 한 달 정진석…위기 딛고 당 정상화 기반 구축

입력 2016-06-01 11:11
업데이트 2016-06-01 1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박·비박’ 용어부터 쓰지말자”…계파청산 팔 걷어붙여친박, 한때 “鄭의 쿠데타” 몰아세워…당청 관계 재설정도 주목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오는 2일로 취임한지 한 달째를 맞는다.

19대 총선에서 낙선했다 이번 총선에서 재기에 성공한 정 원내대표는 지난달 3일 원외(院外) 4선 당선인 신분으로 당내 경선에 출마, 3자 대결 구도에서 완승했다.

집권 여당의 원내사령탑을 맡았지만, 당 지도부 공백상태에서 정 원내대표는 20대 총선 참패로 휘청대는 당의 수습책을 마련해야 하는 막중한 과제를 떠안은 채 임기를 시작했다.

취임 초반에는 원내대표단 인선이 특정 계파에 쏠렸다는 비판에 직면하는가 하면 혁신위원장 영입에도 애를 먹으면서 ‘불면의 밤’을 보냈다.

특히 자신이 비상대책위원장을 겸임하면서 비대위원 및 혁신위원장에 강성 비박(비박근혜)계 의원들을 배치한 게 친박(친박근혜)계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히면서 위기를 맞았다.

비대위·혁신위 출범을 위해 지난달 17일 소집된 전국위원회 및 상임전국위원회가 정족수 미달로 무산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겪은 것이다.

당시 친박계에선 자신들의 지지를 기반으로 선출된 정 원내대표가 “쿠데타를 일으켰다”며 최악의 경우 원내대표직 사퇴까지 종용하겠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정 원내대표는 우여곡절 끝에 지난달 24일 김무성 전 대표, 최경환 의원과 만나 외부 인사 비대위원장 영입과 ‘단일성 집단지도체제’ 전환에 의견을 모으면서 돌파구를 마련했다.

이어 김희옥 전 공직자윤리위원장을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하면서 비대위 체제를 안착시키는 등 지도부 공백 상태이던 당이 정상 궤도에 오르는 기반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 원내대표는 취임 이후 입버릇처럼 ‘계파 청산’을 외쳤다. 스스로 당내 어느 계파에도 소속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는 한편, 현직 대통령의 성(姓)을 딴 ‘친박·비박’이라는 용어부터 없애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친박·비박의 구태의연한 대립 구도를 해소하지 않고선 지상 과제인 정권 재창출은 언감생심이라는 상황 인식에서다.

한 관계자는 1일 “친박·비박 타령만 하다가 정권을 빼앗기고 우리 당이 배출한 두 전직 대통령(박근혜·이명박)이 청문회에 불려나오는 상황을 가만히 지켜볼 수 없다는 게 정 원내대표의 확고한 의지”라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이 같은 차원에서 비대위 체제 아래 치러질 전당대회가 ‘혁신 전대’가 돼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다만 주류인 친박계의 영향력이 엄존하는 상황에서 정 원내대표의 계파 청산론은 기득권 포기를 요구하는 셈인 만큼, 그에 따른 반발을 다독이는 게 정 원내대표의 리더십을 시험하는 과제로 남았다.

누구보다 ‘협치(協治)’ 정신을 강조하는 정 원내대표가 여소야대 3당 구도에서 20대 국회의 원(院) 구성의 타협점을 원만하게 도출해내는 것도 만만치 않은 도전이다.

박근혜 정부가 임기 말에 들어선 시점에서 당·청 관계의 재설정 역시 주목된다.

정 원내대표는 ‘님을 위한 행진곡’의 5·18 기념곡 지정과 관련해 청와대와 다른 견해를 밝힌 바 있지만, ‘상시 청문회’를 담은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금기로 여길 수 없는 권리”라며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등 사안별로 색깔을 달리하며 자신의 견해를 드러낸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