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첫 실험’ 대표위원제 과제 산적…일부서 형평성 논란

더민주 ‘첫 실험’ 대표위원제 과제 산적…일부서 형평성 논란

입력 2016-06-17 13:24
업데이트 2016-06-17 1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표위원·전국위원장 겸직 문제 당내 이견중복투표 허용시 ‘표 등가성’ 문제…1명이 3~4표 행사?

더불어민주당이 8·27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제 대신 대표위원제를 도입하기로 했으나 세부 시행방안을 두고 당내 이견이 계속되는 양상이다.

계파정치 청산을 위한 혁신안을 최대한 살려내겠다는 취지에서 결정했지만 처음 도입하는 제도인데다 제대로 준비가 갖춰지지 않은 탓에 곳곳에서 잡음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우선 여성, 노동, 청년, 노인, 민생 부문에서 대표위원을 선출하고 이 대표위원이 여성위원회·노동위원회·청년위원회·노인위원회 등 전국위원회의 위원장을 겸직하도록 한 규정이 도마 위에 올랐다.

부문별 대표를 선출하기 위한 선거인단과 전국위원장 선출 선거인단이 겹치는 만큼 효율성을 위해 겸직이 옳다며 이같은 규정을 정했고, 전국위원장이 대표위원으로서 당의 최고의사결정에 참여하면 전국위 기능도 더 활발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의 판단이었지만 전국위 인사들의 생각은 달랐다.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 24번 후보였던 장경태 청년위 부위원장은 트위터에 “청년대표위원과 청년위원장은 분리해야 한다”며 “아랫돌 빼서 윗돌을 괴겠다는 것인데, 왜 청년당원과 논의도 없이 이런 안을 만드는지 모르겠다”는 글을 남겼다.

그는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청년위원장과 대표위원을 겸직하면 오히려 청년위원회 활동에 소홀하게 되고, 청년당원들과의 괴리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례대표 30번이었던 김영웅 전국장애인위원회 대변인도 페이스북에 “아예 당내 장애인 조직은 없는 것처럼 취급한다”며 “대표위원과 전국위원장을 겸하는 선거라면 거액의 후보자 기탁금을 요구할 수 있다. 돈없는 청년은 금수저들끼리 싸우는 것만 보고, 장애인은 당에서 다 나가라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대표위원 선거인단 구성에서 당원들의 중복투표를 어느정도 허용할지도 고민거리다.

예를 들어 여성·청년이면서 노동계 경력이 있을 경우에는 3명의 부문별 대표위원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 같은 당원이어도 뽑을 수 있는 대표의 수가 각기 달라지는 셈이다.

당의 한 관계자는 “전국위원장을 뽑는 선거에서야 괜찮지만, 당의 최고의사결정을 할 지도부 선거에 있어서 당원들마다 표의 가치가 다르게 책정된다면 형평성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전당대회준비위원회 관계자는 “아직 중복투표를 어떻게 허용할지 확정되지 않았다”며 “실무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혁신안의 취지를 살리는 것이 우선이다. 여러 의견을 들어보고서 가능한 부분은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