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호 전 북한 공사, 귀순하며 자녀에게 “노예의 사슬 끊어주겠다”

태영호 전 북한 공사, 귀순하며 자녀에게 “노예의 사슬 끊어주겠다”

김서연 기자
입력 2016-12-19 17:39
업데이트 2016-12-19 17: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팔짱 낀 태영호
팔짱 낀 태영호 귀순한 태영호 주영 북한대사관 공사가 2014년 11월 런던 북한대사관에서 개최한 북한 예술 전시회에서 북한 국기와 회화를 배경으로 팔짱을 낀 채 기념 촬영에 응하고 있다.
런던 AFP 연합뉴스
태영호 전 주(駐)영국 북한대사관 공사가 귀순 당시 자녀들에게 “이 순간부터 노예의 사슬을 끊어주겠다”고 말했다고 국회 정보위원회 이철우 위원장이 19일 전했다.

이날 오후 태 전 공사와 국가정보원은 국회에서 국회 정보위 이 위원장과 여야 간사 비공개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를 마친 이 위원장은 “태 공사를 신문할 만큼 했기 때문에 주말인 23일 국가정보원 보호하에서 태 공사를 사회에 배출한다”며 간담회 내용을 전했다.

이 위원장에 따르면 태 공사는 “오랜 해외생활을 통해 한국 민주화와 발전상을 체감해 오래전 탈북을 결심했다”며 “김정은의 폭압, 공포 통치 아래 노예생활을 하는 북한의 참담한 현실을 인식하면서 체제에 대한 환멸감이 커져 귀순결심을 굳혔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에 온 뒤 ‘와보니 진작 용기 내서 오지 못했나 하는 아쉬움이 든다’고까지 얘기했다.

이 위원장은 “북한은 직위가 올라갈수록 감시가 심해져 자택 내 도청이 일상화됐다”며 “김정은이 나이가 어려 통치가 수십 년 지속될 경우 자식, 손자 대까지 노예 신세를 면치 못한다는 절망감으로 우울증에 시달리는 간부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엘리트층은 체제 붕괴 시 자신들의 운명도 끝난다는 생각에 마지못해 충성하는 시늉만 내고 있다”며 “주민들도 낮엔 김정은 만세를 외치지만 밤에는 이불을 덮어쓰고 한국 드라마를 보며 (한국에 대한) 동경심을 키워가고 있다고 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 위원장은 “태 공사는 아들이 두 명으로 가족이 다 같이 왔다”며 “북한에서 자금 횡령 등 범죄를 저지르고 처벌이 두려워서 도주했다는 비난발표를 했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다.

김서연 기자 w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