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1000㎞ 쏴 올려… 핵탄두 탑재 시험? 사거리 의도적 축소?

北, 1000㎞ 쏴 올려… 핵탄두 탑재 시험? 사거리 의도적 축소?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6-06-22 22:50
업데이트 2016-06-23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사일 고각사격’ 전문가 분석

45도 발사 땐 괌 사정권
“기폭장치·대기권 재진입 실험”

핵무기 운반 능력 과시 의도

이미지 확대
2010년 10월 10일 북한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조선노동당 창건 65주년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 모습을 드러낸, ‘무수단’으로 추정되는 미사일. 서울신문 DB
2010년 10월 10일 북한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조선노동당 창건 65주년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 모습을 드러낸, ‘무수단’으로 추정되는 미사일. 서울신문 DB
이미지 확대
북한이 22일 6번째로 쏘아 올린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인 무수단(BM25)이 400여㎞를 비행한 것으로 나타나 사실상의 성공으로 평가되는 분위기다. 정부와 군 당국은 그간 실패한 미사일에 비해 엔진 성능이 좋아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이날 오전 중 무수단 미사일을 두 차례나 발사한 것은 김정은 위원장의 핵무기 운반 능력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은 이날 5번째 무수단 미사일 1발은 실패했지만, 6번째 미사일은 발사 각도를 높여 쏘는 방식(고각 사격)으로 고도 1000㎞ 이상을 비행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고각으로 1000㎞를 쏘아 올린 것이 사실이라면 엔진 성능 부분에서 상당한 기술적 진전이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전했다. 무수단의 최소 사거리인 500㎞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북한이 일본의 반발 등을 고려해 의도적으로 사거리를 줄여 발사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상 각도(45도)로 발사됐다면 충분히 3000㎞ 이상의 사거리를 기록할 수 있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북한이 고각 사격을 한 이유가 소형화된 핵탄두 탑재시험용이라는 추정도 있다. 한·미 정보당국은 무수단 미사일에 소형화된 핵탄두가 탑재됐는지와 대기권 재진입 기술 확보 여부에 대해서 정밀 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무수단은 이미 10년 전에 전력화됐고, 이번 발사 목적은 핵탄두 폭발실험을 위한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로 미 본토를 타격하기 위해 대기권 재진입 실험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북한이 두 차례나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김 위원장의 중·장거리 핵무기 운반 과시용으로 볼 수 있다. 무수단 미사일은 사거리가 3000~4000㎞에 달하고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어 유사시 한반도로 전개되는 괌 기지와 주일 미군 타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4월 23일 동해 수중에서 발사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은 수면 위로 튀어나와 수직 상태에서 점화되는 ‘콜드런치’ 기술을 깔끔하게 선보였다. 무수단 미사일과 ICBM이 향후 실전 배치되면, 잠수함에 탑재돼 육상·해상·수중 등 전방위에서 핵 공격을 가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진다.

북한은 앞으로 무수단 미사일의 성공을 내세워 미국과 협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대내적으로는 이번 발사를 ‘성공’으로 규정하며 오는 29일 최고인민회의 개막 행사를 앞두고 대대적으로 선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군은 2020년대 중반까지 유사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시설을 선제공격으로 파괴한다는 개념인 킬체인(Kill Chain)을 구축,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6-06-23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