괌 사드 포대 공개…‘레이더 전자파’ 위해성 여부 확인

괌 사드 포대 공개…‘레이더 전자파’ 위해성 여부 확인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7-18 08:46
업데이트 2016-07-18 08: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18일 괌 사드포대 한국군·한국 언론에 공개

이미지 확대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에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를 배치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지난 8일 발표했다. 미 국방부 제공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에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를 배치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지난 8일 발표했다. 미 국방부 제공
미국 군 당국이 18일 태평양 괌 기지에 있는 사드 포대를 공개한다.

군 관계자는 지난 17일 미군이 한국의 국방부 관계자들과 취재진에 괌 사드 포대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미 군 당국은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배치지역 선정 작업을 하면서 X-밴드 레이더(AN/TPY-2)의 전자파 인체 유해성과 발전기 소음, 환경피해 등의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괌의 사드 포대 공개를 협의해왔다.

미군 측은 8개 이상 국가에 배치되는 사드 기지를 타국 민간인에게 개방한 사례가 없다면서 난색을 표명했으나 한국에서 후보지로 거론된 지역마다 반대 여론이 거세지자 한국 측 요구를 막판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국방부 관계자들과 취재진은 괌 사드 포대 운용 실태와 레이더 전자파 인체 위해성 여부, 발전기 소음, 환경피해 등 경북 성주지역으로 사드 배치지역이 결정된 후 제기되는 논란을 객관적으로 확인하는 활동을 하게 될 것이라고 국방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사드의 적 탄도미사일에 대한 요격 성공률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 과제이다.

이와 관련, 마이클 길모어 국방부 미사일 운용시험평가국장은 지난해 3월 상원 군사위 서면 진술서를 통해 “지금까지 비행실험과 신뢰성 실험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사드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지속적이고 꾸준한 신뢰성 향상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극한 온도와 온도 충격 ,습기, 비, 얼음, 눈, 모래, 먼지 등을 견뎌내는지 등 시스템의 성능을 시험하는 자연환경 실험에서도 결함을 보였다”며 “이는 사드가 언제, 어디에 배치되든 적절하게 운용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꼭 해결돼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의문점에 대해 괌 기지의 미군 관계자들은 사드 포대가 일급 보안시설임을 이유로 상세한 자료를 공개하지 않을 가능성도 커 보인다.

미 육군은 2013년 4월 북한의 무수단(화성-10) 중거리미사일의 공격 위협이 대두하자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 북서쪽 정글지역인 ‘사이트 아마딜로’ 평지에 사드 1개 포대를 배치했다. 사드의 해외 배치는 괌이 처음이었다.

35.7 에이커(4만 3700여 평)에 달하는 석회암 수풀림과 다년생 잡목림을 제거하고 X-밴드 레이더와 발사대 6기, 교전통제소를 설치했다. 현재 ‘알파포대’에는 200여명의 병력이 있으며 중령이 지휘관을 맡고 있다.

태평양 지역의 모든 공군 전력과 미사일방어 체계를 담당하는 제84 육군 방공 미사일방어사령부(AAMDC)의 지휘를 받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