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첫 TV토론] 朴 답답한 설명형, 文 딱딱한 설득형, 李 직설적 공격형

[대선 첫 TV토론] 朴 답답한 설명형, 文 딱딱한 설득형, 李 직설적 공격형

입력 2012-12-05 00:00
업데이트 2012-12-05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토론 스타일 비교

세 명의 대선 후보는 TV토론 스타일도 달랐다. 4일 저녁 서울 여의도 MBC 스튜디오에서 열린 대선 TV토론에서 조곤조곤 설명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 논리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한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 적절한 비유와 예시로 공세를 편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선 후보 등 세 후보는 각기 다른 모습으로 유권자들에게 호소했다.

박 후보는 여성적인 화법을 사용했다. 설명하듯 이야기하고 말이 길었다. 수식어도 많이 사용했다. 다만 기존에도 단점으로 지적됐던 문어체 스타일은 여전했다. 듣기에 따라서는 국어 교과서를 읽는 듯한 지루함, 답답함을 느낄 수 있었다. 돌출 질문에 대한 유연성도 부족했다. 기조연설 등에서는 차분하게 잘 설명했지만 후보자 간 공방이 벌어진 자유 토론에서는 제대로 질문을 못하는 모습도 보였다. 박 후보는 답변이 부족했다고 판단됐을 때는 미리 준비했던 질문으로 두 후보에게 역공을 하는 모습도 보였다.

문 후보는 진지한 설득형이었다. 법조인 출신답게 논리적이면서도 진정성을 담아 메시지를 전달했다. 다만 어법이 딱딱하고 임플란트 탓에 발음이 부정확했다는 지적과 “사우지(싸우지) 말자.”는 등 경상도 사투리 사용으로 전달력이 떨어졌다는 지적도 나왔다. 단도직입적으로 설명하다 보니 제한된 답변 시간이 남는 경우도 있었다.

이 후보는 박 후보를 겨냥해 “여성 대통령은 필요하지만 여왕은 필요없다.”고 말하는 등 적절한 비유를 사용하면서 공세에 나선 점 등이 돋보였다. 하지만 말을 너무 빨리해서 알아듣기 힘든 경우도 있었고 “저는 박 후보를 반드시 떨어뜨릴 것”이라며 너무 직설적으로 공격에 나선 것도 단점으로 지적됐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2-12-05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