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최고 정보기관 수장, 북핵 정보 부재 시인 “북의 핵공격 기준을 모른다”

美 최고 정보기관 수장, 북핵 정보 부재 시인 “북의 핵공격 기준을 모른다”

입력 2013-03-14 00:00
업데이트 2013-03-14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클래퍼 “한국에 도발 가능성”

미국의 최고 정보당국 책임자가 북한 핵에 대한 정보 부재를 시인했다. 제임스 클래퍼 미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12일(현지시간) 상원 정보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북한은 자신들의 핵 능력을 자위(自衛)와 국제적 권위, 협박 외교의 수단으로 여기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이 김정은 정권을 지키기 위한 경우에만 핵무기로 미국과 동맹국을 공격할 것이라는 전망을 ‘큰 확신 없이’ 하고 있는데, 그나마도 북한이 핵무기 공격의 기준으로 삼는 게 무엇인지는 알지 못한다”고 토로했다.

DNI는 중앙정보국(CIA)과 연방수사국(FBI) 등 미국의 16개 정보기관을 총괄하는 최고 정보기관으로 DNI 국장은 ‘정보 차르(황제)’로 불릴 정도다. 그런 점에서 이 같은 실토는 북한의 핵 전략에 대한 미국의 정보 부재가 심각한 수준임을 방증한다.

클래퍼 국장은 “아마도 북한이 도발할 가능성이 있고, 특히 한국을 겨냥해 도발할 가능성이 있어 크게 걱정된다”면서 “북한 군은 사전경고 없이 제한된 공격을 가할 수 있는 태세를 잘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편으로는 험한 말을 쏟아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농구스타)데니스 로드먼을 초청하는 김정은의 (이상)행동에 대해서도 깊은 우려를 갖고 있다”고 했다. 청문회장에 배석한 존 브레넌 CIA 국장도 클래퍼 국장의 견해에 동의했다.

그는 또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보이는 KN08을 배치하기 위한 초기 조치를 취했다”면서 “아직 발사 시험을 거치지는 않았다”고 했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3-14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