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北 거론 ‘5월 매국행위’ 시점에 장기 잠적

장성택, 北 거론 ‘5월 매국행위’ 시점에 장기 잠적

입력 2013-12-13 00:00
업데이트 2013-12-13 16: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소식통들 “’50년 기한 토지임대’ 비난도 주목”

북한당국이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매국행위’ 시점으로 거론한 지난 5월 장성택이 약 한 달간 ‘잠적’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장성택 처형 뉴스 주목
장성택 처형 뉴스 주목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2일 특별군사재판을 열어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에 대한 사형을 판결하고 즉시 집행했다고 전한 13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가전매장에서 장성택 처형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대북소식통 등에 따르면 전날 ‘국가전복 기도’, ‘매국행위’ 등으로 처형된 장성택은 지난 5월13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 공연 관람에 동행한 뒤 행적이 묘연해졌다.

장성택이 이후 다시 모습을 드러낸 것은 다음 달 10일 진행된 김 제1위원장의 평양국제축구학교·릉라인민체육공원 시찰에 동행했을 때로 28일 만의 재등장이었다.

장성택의 이같은 ‘장기 잠적’은 최소한 2012년 이후의 공개활동을 놓고 볼 때 매우 드문 일이다. 그는 한 달에 많게는 20여 차례씩 김 제1위원장을 수행해왔다.

베이징 소식통들은 북한이 “장성택은 지난 5월 매국행위를 했다”고 거론한 대목과 이 ‘잠적사건’이 어떤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장성택이 당시 중장기적으로 북한정부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대규모 대외경제 사업을 주도한 점을 감안할 때 그가 ‘근신’ 등의 경고조치를 받아 공개활동을 자제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해석이다.

북한은 “장성택은 석탄을 비롯한 귀중한 지하자원을 망탕 팔아먹도록 하여 심복들이 거간군들에게 속아 많은 빚을 지게 만들고 지난 5월 그 빚을 갚는다고 하면서 나선경제무역지대의 토지를 50년 기한으로 외국에 팔아먹는 매국행위도 서슴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중국통’인 장성택의 부재가 북 중간 경제협력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점치면서 “토지를 50년 기간으로 외국에 팔아먹었다”는 표현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북한은 근년 들어 나선경제무역지대, 황금평·위화도경제지대 등 북중간의 다양한 경제특구에 대해 최장 50년 임차권 등의 특혜를 약속하며 외국인 투자자들을 유혹해왔다.

북한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지난 5월29일 제정한 경제개발구법 전문에서도 “경제개발구의 토지임대기간은 최고 50년까지로 한다”며 임대기간이 끝나면 재계약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만약 북한당국이 이번에 초장기 토지임대 등 외국인 투자에 대한 각종 특혜 조치를 문제 삼은 것이라면 장성택 처형은 북한의 대외경제정책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대북 소식통은 “그러나 오늘 나온 문구만 놓고서는 ‘매국행위’가 특정사건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초장기 토지임대 등을 뜻하는 것인지 단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