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張처형 후 국경경비 최고수준…中에 탈북체포조”

“北, 張처형 후 국경경비 최고수준…中에 탈북체포조”

입력 2013-12-26 00:00
업데이트 2013-12-26 09: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탈북기도자 무조건 체포 명령…국경지역 여행증 발급 중단”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은 국경지대 경비를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탈북자 체포조를 중국에 파견하는 등 내부 이탈 방지에 총력전을 펼치는 것으로 26일 전해졌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날 “북한 국경경비대는 연말연시 북·중 국경 경비를 최고 수준으로 강화해 24시간 순찰·잠복근무 시행 등 삼엄한 경비태세를 구축 중”이라며 “국가안전보위부에서는 탈북기도자 무조건 체포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보위부와 인민보안부는 중국 공안의 협조를 받아 탈북자 체포조를 중국에 파견, 탈북자를 검거하고 북송하는 한편 탈북 지원단체 색출에도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또 내부 단속을 위해 국경 지역에서의 여행증 발급을 중단했으며 외지인의 국경마을 진입도 강력하게 통제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통제 강화에 따라 압록강과 두만강이 얼어붙은 한겨울임에도 탈북 인원이 감소, 내년도 국내 입국 탈북자는 올해보다 더욱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김정은 체제 등장 이후 국내 입국 탈북자는 이미 크게 줄었다.

한때 연 3천명에 육박하던 국내 입국 탈북자는 김정일 사망 이후 김정은 체제가 본격 출범한 지난해에는 1천502명으로 급감했고, 올해도 비슷한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은 올해 들어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들의 재입북에 열을 올리면서 내부적으로 재입북 탈북자에 대한 관용 방침을 내세웠지만, 한편으로는 이들에 대한 통제·감시를 더욱 강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소식통은 “연초에는 ‘탈북자들이 돌아온다면 이들을 재생의 길로 이끌고 귀북을 허용할 것’이라는 등 유화 정책을 하달했다”며 “그러나 실상은 재입북 탈북자들을 기자회견에 활용한 뒤 가족을 동반한 재탈북을 막으려고 철저히 감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은 장성택 처형 이후 각 지방당 행정부 업무를 중단하는 등 숙청 후속 작업에 나서는 한편 내부 동요 방지를 위한 조치에도 부심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