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해외식당 전 종업원 “한국 손님 상대로 정보수집했다”

北 해외식당 전 종업원 “한국 손님 상대로 정보수집했다”

입력 2016-04-05 09:08
업데이트 2016-04-05 09: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VOA 인터뷰…”한국 정재계 인사 정보수집 보고 의무“

북한이 해외에서 운영하는 식당 손님의 대부분이 한국 사람들이며, 이들 식당의 종업원이 손님을 대상으로 정보 수집 활동을 벌인다는 증언이 나왔다.

우리 정부가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독자 대북제재의 하나로 해외 북한 식당의 이용 자제를 권고한 상황에서 해외 북한 식당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5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얼마 전까지 해외의 북한 식당에서 파견 일꾼으로 근무했다는 ‘J씨’의 서면 인터뷰를 보도했다.

J씨는 익명을 전제한 인터뷰에서 “식당 손님 60~80%가 남조선 사람”이라며 “조선 음식이 기본이고 식사비가 비싸 주재국 손님은 돈 있는 사람들만 온다. 그래서 남조선 사람들이 식당에 안 오면 운영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접대원에게는 식당 출입 외국인, 특히 남조선 정재계 사람들이 주고받는 대화정형(상황)이나 동향, 신원파악 내용 등을 수집보고할 의무가 있다”며 “보위원들이 주로 식당인원을 감시·통제하면서 그런 활동을 담당한다”고 덧붙였다.

J씨는 또 자신이 일했던 식당의 하루 매상은 미화 1천500~2천400 달러(172만~276만원)였다며 “우리 임무는 노동당 자금 보충을 위한 외화벌이인데 목표는 1년에 20만 달러(2억3천여만원)를 벌어 바쳐야 한다”고 증언했다.

그는 접대원에게는 생활비로 매달 10~15달러를 현금으로 준다면서 “대신 (4년간의 파견 기간이 끝나) 조국에 소환될 때 현금 2천~2천500달러를 준다. 귀국 이후에는 TV나 랭동기(냉장고), 세탁기도 준다”고 전했다.

J씨는 “남조선 손님은 같은 민족이고, 식당에 오는 손님이라 해서 반갑게 대해주고 일련의 대화도 나눈다”면서도 “반목질시하는 체제 교양된 후과도 작용하겠지만 우리는 남조선 손님들을 믿을 수 없는 사람들로 본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 외화벌이 노동자로서의 삶에 대해 “감시와 통제, 단속은 조국에 있을 때보다 정신 고충이었고 육체적 자유 구속도 추가됐다”면서 “(북한 주민에게)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고 관리하고 책임지는 초보적 자유와 권리만이라도 주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VOA는 J씨의 신변 보호를 위해 그가 언제, 어느 나라의 북한 식당에서 근무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