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 안 되는 대책뿐… 귀찮아요”

“도움 안 되는 대책뿐… 귀찮아요”

입력 2013-03-14 00:00
업데이트 2013-03-14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교폭력 뒷북 대처에 시큰둥한 학생들

“1년 전에도 대책을 마련한다고 난리 쳤어요. 이번에도 난리 치겠죠. 그런다고 별로 바뀌는 것도 없어서 이젠 귀찮기만 해요.”

학교폭력에 시달려 온 경북 경산의 최모(15)군이 지난 11일 스스로 목숨을 끊자 학생들은 안타깝지만 일어날 일이 일어난 것일 뿐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학교폭력을 없애겠다는 어른들의 호들갑도, 정부 대책도 ‘탁상공론’일 뿐이라고 꼬집었다. 대다수 학생은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를 열고 결과를 생활기록부에 쓰는 현행 제도에 고개를 갸웃거렸다. 성남 A고등학교 전태준(18)군은 13일 “가해 학생들이 생활기록부의 점수 깎이는 거에 신경이나 쓸 것 같으냐”면서 “어차피 대학 갈 생각도 없는 데다 학교에서 유별나게 대처할수록 자기가 잘나간다고 생각하더라”고 말했다.

117전화나 상담 교사 등 신고 창구가 있지만 신고하기는 현실적으로 힘들다고 했다. 서울 B중학교 최모(15)양은 “일진한테 괴롭힘을 당하던 친구가 신고센터에 전화했는데 그게 알려져서 결국 전학 갔다”면서 “전문가가 확실히 도와주지도 못하고 비밀보장도 안 돼 왕따당하는 걸 봐도 알릴 엄두가 안 나더라”고 고백했다. 부산 C고등학교 조모(17)군은 “괴롭히는 애들이 빤히 쳐다보고 있는데 상담실에 어떻게 들어가느냐”면서 “막상 선생님이나 어른들한테 말해도 도움이 안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정기적으로 하는 학교폭력 예방 강연도 지루하기만 하다. 서울 D고등학교 이하나(16)양은 “친구들끼리 사이 좋게 지내라는 얘기는 나도 할 수 있다”면서 “정작 공부 못하면 벌레 취급하면서 학기에 한두 번만 반짝 인성교육을 외치는 게 너무 우습다”고 냉소적으로 말했다. 분당 E고등학교 김희수(17)군은 “사후 처벌로는 학교폭력을 해결할 수 없고 인식이 바뀌는 게 중요하다”면서 “이번에 죽은 애는 폐쇄회로(CC) TV 얘기를 유서에 썼던데 가해 학생은 힘으로 우월감을 과시하려는 거라서 어차피 CCTV도 무서워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생들은 ‘어떻게 학교폭력을 없애느냐’보다 ‘왜 폭력이 일어나는지’를 알아 달라고 했다. 부산 F고등학교 김동규(17)군은 “집·학교·학원만 맴돌고, 모두 책만 보라고 강요한다”면서 “건전하게 스트레스를 풀 곳이 전혀 없고 놀이문화도 부족해 가끔 누군가를 때리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고 털어놨다. 이나영 이룸심리상담연구소장은 “입시 경쟁만 강요하는 분위기에서 건전한 방식으로 욕구 충족을 하지 못하는 학생이 학교폭력에 빠질 수 있다”면서 “성적지상주의·결과주의를 버리고 인성·성품 교육을 강화하지 않으면 아무리 그럴듯한 제도를 도입해도 근절하기 힘들다”고 강조했다.

조은지 기자 zone4@seoul.co.kr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3-03-14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