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사법·행정 고위직 72% 작년 재산 증가

입법·사법·행정 고위직 72% 작년 재산 증가

입력 2013-03-29 00:00
업데이트 2013-03-29 09: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회의원 35.8% 1억이상↑…평균재산 18억6천만원

작년 입법·사법·행정 고위 공직자 약 10명 중 7명의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대법원·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9일 관보를 통해 공개한 작년 말 현재 입법·사법·행정 고위직 재산변동 신고내역에 따르면 전체 공개대상 2천387명 중 71.6%인 1천709명의 재산이 1년 전보다 증가했다.

국회의원의 경우 전체 296명(의원직 상실자 3명 및 비례대표 승계자 1명 제외) 중 71.6%인 212명의 재산이 늘었다.

재산 증가액을 살펴보면 ▲1억∼5억원이 전체의 33.4%인 9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5천만원 미만 54명(18.2%) ▲5천만∼1억원 52명(17.6%) 등 순이다. 5억원 이상 재산이 늘어난 의원은 7명(2.4%)으로 나타났다.

재산이 감소한 의원은 84명(28.4%)이며, 감소액별로 ▲5천만원 미만 35명(11.8%) ▲1억∼5억원 27명(9.1%) ▲5천만∼1억원 12명(4.1%) ▲10억원 이상 7명(2.4%) 순이다.

정당별 재산 증감 의원 비율은 대체로 엇비슷했다. 재산이 늘어난 의원 비율은 새누리당 69.5%(105명), 민주통합당 73.2%(93명), 진보정의당 83.3%(5명)였다. 통합진보당만 재산 증가 의원 비율이 33.3%(2명)에 그쳤다.

500억원 이상 자산가인 새누리당 정몽준(1조9천249억원)·고희선(1천984억원)·김세연(880억원)·박덕흠(530억원) 의원 등 4명을 제외하면 전체 의원의 평균 재산은 18억6천800만원으로 집계됐다.

중앙부처 가급 고위공무원 이상과 광역 지방자치단체장 및 의원, 교육감 등 고위 공직자 1천933명 중에서는 71.3%인 1천378명이 1년 전 신고 때보다 재산이 늘었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고위공직자 10명중 7명의 재산이 늘어난 주요인으로 부동산 가격과 주식 평가액 상승, 급여저축의 증가를 꼽았다.

하지만 이들의 평균 재산은 11억7천만원으로 1년 전보다 1천200만원 감소했다. 1년전 309억원의 재산을 신고해 행정부 고위공직자 중 최고였던 전혜경 전 국립식량과학원장이 이번 재산공개 대상에서 빠진데다 서울 등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으로 안전행정부는 분석했다.

사법부 고위 인사들의 경우 고등법원 부장판사 이상 고위법관과 헌법재판관 등 158명 중 119명(75.3%)의 재산이 늘어났다.

고위 법관 재산공개 대상자인 147명의 평균 재산은 21억997만원으로, 66.7%에 해당하는 98명이 10억원 이상 재산을 신고했다. 헌법재판소 재판관 8명은 평균 16억원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