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도청앞 5·18 산 증인들…시계탑만 홀로 떨어져

옛도청앞 5·18 산 증인들…시계탑만 홀로 떨어져

입력 2013-05-02 00:00
업데이트 2013-05-02 15: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청 앞 참상을 시계탑은 알고 있다’ 소문에 신군부가 이전

1980년 5월 옛 전남도청 앞에서 5·18 민주화운동의 참상을 지켜본 ‘시계탑’.

논란 끝에 일부를 보존하기로 한 도청 별관과 도청 본관 내 은행나무(수령 300년), 도청 앞 회화나무(수령 150년) 등과 함께 역사적 의미가 남다른 상징물이지만 시계탑은 더이상 도청 앞을 지키고 있지 않다.

이 시계탑은 1980년대 중반 광주 서구 농성동 현재의 농성광장으로 옮겨졌다.

광주 JC와 기념탑에 새겨진 설명에 따르면 이 탑은 광주 청년회의소(JC·Junior Chamber)와 자매결연한 일본 JC가 선물한 시계를 이용해 세워진 탑이다.

1971년 옛 도청 앞에 자리잡은 이래 시계가 귀한 시절 시민들로부터 사랑받으며 10년 넘게 도청 앞 상징물로서 자리를 지켜왔다.

그러나 이 탑은 5·18 민주화운동 이후 도청 앞에서 종적을 감췄다.

기념탑에는 “1980년 5월 당시 시민들의 집회장소로 이용, 언론이 왜곡보도하던 그 시절에 그 엄청난 참상을 시계탑은 알고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돌자 군사정권에 의해 야간에 강제로 농성공원에 옮겨져야 했다”고 적혀있다.

실제 독일의 한 언론에서는 5·18과 관련해 ‘시계탑은 알고 있다’는 기사를 보도하기도 했다.

신군부는 탑을 옮기는 과정에서 시계가 고장나자 시계를 설치하지 않은 채 기념탑만 세워놓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 JC는 지난 1997년 ‘2002 한일 월드컵’의 성공 기원을 위해 이 탑을 보수해 월드컵 기념탑으로 새로이 탄생시켰다고 밝혔다.

기념탑은 이후 특별한 관리주체 없이 이곳에 보존돼 있었다.

탑의 유래를 알게 된 시민들은 5·18의 아픔을 간직한 시계탑을 원래 자리에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경률 광주시 인권담당관은 “시도, 5·18 기념재단도 농성광장 기념탑에 대해 몰랐다는 것에 유감”이라며 “탑을 옮겼던 경위나 보존 상태, 옛 도청 앞으로 옮겼을 때 문제가 없는지 등에 대해 현황 조사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