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 파업’ 삼화고속 노사, 2차례 주말 교섭 결렬

‘전면 파업’ 삼화고속 노사, 2차례 주말 교섭 결렬

입력 2013-06-09 00:00
업데이트 2013-06-09 16: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선 매각 문제 등을 두고 갈등을 빚는 광역버스업체 삼화고속 노사가 파업 이후 2차례에 걸쳐 교섭을 벌였지만, 서로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9일 삼화고속 노사에 따르면 양측 교섭 대표단은 이날 오후 2시께 만나 1시간 20여 분 동안 양측의 입장을 교환했다.

노조는 향후 추가로 노선을 매각할 경우 근로 조건과 고용보장 등을 사전에 협의하라고 사측에 요구했다.

또 현재 일부 시행 중인 고속버스 운전자의 ‘3일 근무 2일 휴무’를 전체 고속버스 운전자로 확대할 것을 주장했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 사측이 매각을 신청한 3개 시외버스 노선의 운전자 25명은 매각 이후 고속버스 노선으로 옮겨갈 것”이라며 “기존의 고속버스 운전자에 이들까지 더 해지면 운행 횟수가 한정된 상황에서 근무 시간이 줄게 돼 임금 삭감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회사가 향후 노선을 매각할 때 노조와 상의해야 한다는 것은 이번 파업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선결 조건”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사측은 다시 노선을 매각하는 일이 없도록 노사가 힘을 합치는 게 중요하며 매각과 관련한 사전 협의는 약속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사측의 한 관계자는 “매각에 관한 결정은 회사의 고유 권한”이라며 “매각으로 전환배치되는 고속버스 운전자의 경우 공평하게 배차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노사는 지난 8일 오후 8시께 인천시의 중재로 2시간 30여 분 동안 만나 대화를 나눴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한편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삼화고속지회는 최근 사측의 일부 노선 매각 결정에 반발해 8일 오전 5시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사측이 지난달 20일 경영 악화 등의 이유로 인천∼천안, 인천∼아산, 부천∼공주 등 3개의 시외버스 노선을 매각하겠다는 방침을 경기도청에 밝히자 노조는 반발했다.

삼화고속 노조의 무기한 파업은 지난 2011년 10월 이후 1년 7개월 만이다. 노조는 당시 임금인상 등을 요구하며 전면 파업에 돌입해 37일간 버스 운행을 멈춘 바 있다.

삼화고속은 현재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11개 노선에 광역버스 177대를 운행하고 있다. 또 시외버스 27대와 고속버스 99대도 운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