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회피요령 3가지는 무엇?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회피요령 3가지는 무엇?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16-04-03 11:03
업데이트 2016-04-03 1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방역작업’ 현장에서 새마을 방역봉사대원과 서초구 보건소 직원이 분무소독을 하고 있다.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방역작업’ 현장에서 새마을 방역봉사대원과 서초구 보건소 직원이 분무소독을 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경남,제주지역에서 올해 들어 처음으로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발견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한다고 3일 밝혔다.

경남,제주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일본뇌염 주의보는 최근 10년 새 연중 가장 이른 시기에 발령됐다.지난해에는 4월 8일에,2014년에는 4월 21일에 일본뇌염 주의보가 발령됐다.

일본뇌염 주의보는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최초로 발견될 때 발령된다.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하거나 매개모기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발견됐을 때,매개모기의 밀도가 일정 기준 이상 높아졌을 때는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있는 매개모기에 물려도 95%는 무증상이거나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드물게는 치명적인 급성신경계 증상으로 진행될 수 있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4월부터 10월까지 각종 질병매개 모기의 활동이 활발하다며 모기 회피요령 3가지를 익혀 달라고 말했다.

첫째,야외에서 활동할 때는 긴 바지와 긴소매 옷을 입어 피부 노출을 줄이는 것이 좋다.또한,옷이 피부에 달라붙으면 모기가 흡혈할 수 있으니 되도록 품이 넉넉한 옷을 입어야 한다.

둘째,신발 상단이나 양말에 모기기피제를 사용해야 한다.모기를 유인하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은 되도록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셋째,가정에서는 방충망을 쓰고,캠핑이나 야외에서 잠을 잘 때도 텐트 안에 모기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생후 12개월~만12세 아동은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완료해 달라고 당부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6월부터 본격적으로 채집되고,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흰줄숲모기는 5월에 성충 모기가 돼 9월에 가장 높은 발생을 보인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웅덩이에 서식한다.주로 야간에 흡혈한다. 흰줄숲모기는 숲이나 숲 근처 주택 인근의 나무구멍,인공용기,막힌 배수로 등 고인 물에 서식한다.주로 낮에 활동하지만,기회가 되면 밤에도 흡혈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